- 영문명
- The Waste Land and “The Rime of the Ancient Mariner”: Marine Ecological Study at the Borderline between Reality and Imagination.
- 발행기관
- 한국T.S.엘리엇학회
- 저자명
- 김요섭(Joseph Yosup KIM) 김민선(Minson KIM)
- 간행물 정보
- 『T. S. 엘리엇연구』제35권 제1호, 31~4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T. S. 엘리엇의 『황무지』를 중심으로 S. T. 콜리지의 「노수부의 노래」를 보완적으로 비교하며, 해양생태문학의 관점에서 인간과 자연, 문명과 생태의 관계를 분석한다. 엘리엇은 어부왕 신화를 통해 근대 문명의 황폐와 구원의 결핍을 드러내며, 바다와 어부의 이미지를 통해 내면의 공허와 회복에 대한 갈망을 상징한다. 다양한 신화적 텍스트를 재구성한 『황무지』는 구원의 가능성을 암시하지만, 명확한 결론 없이 독자의 성찰을 유도한다. 「노수부의 노래」는 알바트로스를 죽인 죄를 짊어진 노수부의 속죄 여정을 통해 인간의 생태적 책임을 보여준다. 도선사와 물뱀의 이미지는 자연과의 관계 회복을 상징하며, 생명에 대한 경외가 회복의 열쇠이자 추이대임을 시사한다. 두 시 모두 해양이라는 경계를 배경으로 인간과 자연의 상호작용을 탐구하며, ‘도선사’라는 안내자를 통해 전환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두 시인은 생태위기 시대에 유효한 문학적·철학적 통찰을 제공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compares T. S. Eliot’s The Waste Land with Samuel Taylor Coleridge’s “The Rime of the Ancient Marin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civilization and ec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marine ecological literature. Eliot reveals the desolation of modern civilization and the lack of salvation through the myth of the Fisher King, and symbolizes the inner emptiness and longing for recovery through the images of the sea and fishermen. The Waste Land, which reconstructs various mythological text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salvation, but induces readers’ reflection without a clear conclusion. “The Rime of the Ancient Mariner” shows the ecological responsibility of humans through the old mariner’s journey of atonement for killing an albatross. The images of the pilot and the water snakes symbolize the restora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nature, and suggest that reverence for life is the key and ecotone to restoration. Both poems explore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nature against the backdrop of the ocean, and suggest the possibility of transformation through the guide known as the “pilot.” Through this, the two poets provide literary and philosophical insights that are valid in the era of ecological crisis.
목차
Ⅰ. 서론
Ⅱ. 어부왕, 플레바스, 노수부, 도선사, 은자
Ⅲ. 해양 생태적 분석
Ⅳ. 결론
Works Cited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 S. 엘리엇연구 제35권 제1호 목차
- 불과 장미, 로고스의 변증법: 헤라클레이토스 사상과 엘리엇 네 사중주의 존재론적 통합
- 『황무지』와 「노수부의 노래」: 현실과 상상의 주이대/경계점에서 해양생태 연구
- T. S. 엘리엇: 시인, 비평가, 그리고 숨겨진 화가
- 제임스, 조이스, 엘리엇의 문학에 나타난 파생과 제휴
- T. S. 엘리엇의 『실천적인 고양이들에 대한 올드 파썸의 책』과 MBTI 인간유형 분석
- W. B. 예이츠와 T. S. 엘리엇의 작품에 나타난 고양이와 달의 상징성
- 「드라이 샐베이지즈」 제1-3부에 대한 양자적 접근: 표층의 유희
- 엘리엇의 「이스트 코우커」 제3부 읽기: 기독교 시각으로 “빛”과 “어둠”의 의미 탐구
- T. S. Eliot and Virginia Woolf: 1923-1925
- The Doctrine of the Trinity in T. S. Eliot’s Poetry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T. S. 엘리엇연구 제35권 제1호 목차
- 불과 장미, 로고스의 변증법: 헤라클레이토스 사상과 엘리엇 네 사중주의 존재론적 통합
- 『황무지』와 「노수부의 노래」: 현실과 상상의 주이대/경계점에서 해양생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