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reating a Cultural City through the Utilization of Yongin’s Goryeo White Porcelain Culture
- 발행기관
- 경기학회
- 저자명
- 김금향(Keum Hyang Kim)
- 간행물 정보
- 『경기지역학연구』제12호, 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용인시는 시민 친화적 도시, 역사문화 도시를 지향하며, ‘법정 문화도시’를 추진하고 있다. 용인시의 역사문화 자원이면서 문화재로 지정된 ‘용인서리 고려백자요지’를 비롯하여 도자문화가 다수 존재하고 있으나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일본의 오래된 도자도시인 카사마시의 사례를 통해 도자문화의 지역 브랜드화와 지역 경제 기여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용인시는 고려백자를 계승하는 다수의 도예인과 도자전문의 대학들이 자리잡고 있어 타도시에 비해 도자문화를 형성하는데 좋은 조건을 갖고 있으나 도자문화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은 저조한 편이다. 한편, 카사마시는 정책적인 지원과 함께 도자문화 인프라 조성, 도예인들의 전통 도예기술 계승에 의한 독자적인 카사마도자기의 탄생, 지속적인 도자축제를 통한 도자도시의 이미지를 구축하였다. 이런 노력의 결과, 카사마시는 국가 전통 공예품으로 지정됨은 물론, 독자적인 카사마도자기를 탄생시켰다. 이것은 도자문화의 활성화와 함께 관광산업이 연계되어 지역 경제에 기여하고 있다. 따라서 카사마시의 사례를 용인시의 상황에 맞게 벤치마킹 한다면, 용인시의 도자문화는 전통 도자문화 계승과 더불어 혁신적 기술의 접목을 통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연결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Yongin City aims to become a citizen-friendly and historically cultural city, and is currently pursuing designation as a “Legal Cultural City.” Although the city possesses many ceramic cultural assets, including the Goryeo Celadon Kiln Site in Seori, Yongin—which is both a historical and cultural asset and a designated cultural property—these have not garnered sufficient attention.
In response, a case study of Kasama City, one of Japan’s long-established ceramic cities,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ceramic culture can be used to develop a regional brand and contribute to the local economy.
Yongin is home to many ceramic artists who continue the legacy of Goryeo celadon, as well as universities specializing in ceramics, which gives the city favorable conditions for fostering ceramic culture compared to other cities. However, policy support for ceramic culture remains insufficient.
On the other hand, Kasama City has built a strong image as a ceramics city through consistent policy support, the development of ceramic infrastructure, the creation of the unique “Kasama-yaki” through the succession of traditional ceramic techniques by artisans, and ongoing ceramic festivals. As a result of these efforts, Kasama City was designated a producer of nationally recognized traditional crafts and succeeded in developing its own distinctive ceramic brand, “Kasama-yaki.”
This has revitalized the ceramic culture and linked it with tourism, thereby contributing to the local economy. Therefore, if Yongin City benchmarks Kasama’s case and adapts it to its own context, it could not only preserve traditional ceramic culture but also integrate innovative technologies to develop a high value-added industry.
목차
Ⅰ. 법정문화도시와 용인 문화도시
Ⅱ. 용인시의 고려백자문화
Ⅲ. 일본 카사마시의 도자문화
Ⅳ. 도자문화를 활용한 문화도시를 위하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BEST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의 배경과 주요 쟁점
- 제주지역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거주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학술지 『제주도연구』(1984~2023)의 연구동향 분석 - 제주교육학의 관점에서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지역성의 발명 - 성남시 사랑방문화클럽 사례를 통한 지역성 인식에 관한 비판적 고찰
- 용인 고려백자문화를 활용한 문화도시 창출 - 용인시와 일본 카사마시를 중심으로
- 경기지역학연구 제12호 목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