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소외계층 영재의 부모 학업적 지원 유형에 따른 기본심리욕구 만족 및 좌절과 학업적 자기조절 차이

이용수  156

영문명
Differences in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and Academic Self-Regulation According to Parental Academic Support Types among Gifted Students from Socioeconomically Disadvantaged Backgrounds in Elementary School
발행기관
한국영재교육학회
저자명
송선영(Sun Young Song) 김명섭(Myung-Seop Kim) 홍세정(Sejeong Hong)
간행물 정보
『영재와 영재교육』제24권 제2호, 135~15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5-6학년) 소외계층 영재 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성취 압력에 따라 형성되는 군집을 확인하고, 각 군집 별 기본심리욕구 만족 및 좌절과 학업적 자기조절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초등학교 고학년 소외계층 영재 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의 자율성 지지 및 성취 압력 수준을 측정하고 군집 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율성 지지형’과 ‘성취 압력형’ 두 군집이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각 군집 별 기본심리욕구 만족 및 좌절과 학업적 자기조절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자율성 지지형 집단이 성취 압력형 집단보다 기본심리욕구의 하위 요인인 자율성 만족과 관계성 만족 및 학업적 자기조절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기본심리욕구 만족의 하위요인인 유능성 만족은 군집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기본심리욕구 좌절 수준을 비교한 결과, 자율성 지지형 집단은 성취 압력형 집단에 비해 자율성 좌절과 유능성 좌절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관계성 좌절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영재 학생의 재능계발을 위한 부모의 학업적 지원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lusters formed based on perceived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achievement pressure among gifted upper elementary students from low socioeconomic backgrounds and to analyze differences in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frustration and academic self-regulation across clusters.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achievement pressure levels were measured among these students, and a cluster analysis revealed two distinct groups: the “Autonomy Supportive Type” and the “Achievement Pressure Type.” The comparis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frustration and academic self-regulation between the two clusters revealed that the autonomy-supportive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achievement pressure group in autonomy satisfaction, relatedness satisfaction, and academic self-regulatio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competence satisfaction, a subdimens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When comparing levels of need frustration, the autonomy-supportive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autonomy frustration and competence frustration than the achievement pressure group,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relatedness frustr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recommendations for parents and caregivers on effective ways to support children's academic developmen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선영(Sun Young Song),김명섭(Myung-Seop Kim),홍세정(Sejeong Hong). (2025).초등 소외계층 영재의 부모 학업적 지원 유형에 따른 기본심리욕구 만족 및 좌절과 학업적 자기조절 차이. 영재와 영재교육, 24 (2), 135-159

MLA

송선영(Sun Young Song),김명섭(Myung-Seop Kim),홍세정(Sejeong Hong). "초등 소외계층 영재의 부모 학업적 지원 유형에 따른 기본심리욕구 만족 및 좌절과 학업적 자기조절 차이." 영재와 영재교육, 24.2(2025): 135-1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