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reating Storytelling with AI : Focusing on Game and Webtoon Collaborations
- 발행기관
- 한국컴퓨터게임학회
- 저자명
- 김정태(Jung-Tae KIM1)
- 간행물 정보
-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제38권 2호, 45~50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컴퓨터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게임 산업이 비즈니스 모델의 한계로 인해 침체되고 있는 가운데, 고품질 스토리텔링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생성형 AI는 이러한 스토리텔링 제작을 가능하게 만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I 기반 스토리텔링을 실제로 적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웹툰과 게임의 협업 형태인 ‘웹툰 게임화(gamification)’ 방법론을 제안한다. 게임화에서 플레이어 경험(Player eXperience, PX)은 능동적인 주체로서의 플레이어에게 걸맞은 경험을 의미하며, 사용자를 비롯한 고객, 관람객, 학습자, 게이머 등 게임화의 주요 수혜자들은 ‘플레이어’로 정의될 수 있으며[1,2], 여기에는 웹툰 독자도 포함된다. 본 연구는 웹툰의 형식과 표현, 그리고 독자의 몰입 경험을 확장하는 웹툰 게임화 및 웹툰×게임 협업 유형을 제안하고, AI 스토리텔링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AI Story_Prompt)를 제시하며, 웹툰과 게임 간 융합 제작의 방향성을 모색한다.
영문 초록
While the game industry is stagnating due to the limitations of its business model, high-quality storytelling is being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and generative AI has made it possible to create storytelling. In this study, I propose a methodology for webtoon gamification, a collaboration between webtoon and game, to apply AI-based storytelling in practice. The player experience (Player eXperience, PX) in gamification is an experience befitting the player as an active agent, and the main beneficiaries of gamification, such as users, customers, guests, audiences, learners, and gamers, are proposed as ‘players’[1,2], which includes webtoon readers. This study proposes a webtoon gamification and webtoon×game collaboration type that enhances the format and expression of webtoons and the reader's experience, and also presents the commands (AI Story_Prompt) required for efficient AI storytelling, and studies the direction of convergence production between webtoons and gam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AI스토리텔링 연구
4.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커뮤니티 기반 미디어 아트: 지역 사회적 맥락과 자원을 바탕으로 한 미디어 아트
- 생성형 AI 기반 이미지 생성과 블렌더 파이썬 모델링을 활용한 실시간 콘텐츠 디자인 파이프라인에 관한 연구
- LDA와 Word2Vec을 활용한 「동물의 숲: 뉴 호라이즌스」 리뷰 분석: 힐링 게임 인식에 대한 연구
- Playable Art를 중심으로 한 미디어아트 용어의 층위 연구
- 루트박스 규제 논쟁의 현황과 균형 잡힌 연구의 필요성
- 인공지능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창작: 게임과 웹툰의 협업을 중심으로
- 웹 보드게임의 불법 이용 방지를 위한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 시각적 생태계에서 생성형 AI 이미지의 생존과 소멸 시뮬레이션
-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한 AI 기반 키오스크 인터페이스: 게이미피케이션을 통한 사용성 향상에 초점을 맞추어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컴퓨터학분야 BEST
- 지도서비스를 이용한 위치 기반 관광 빅데이터의 시각화
- 공서비스 공급 관점에서 살펴본 비의료 건강관리서비스 인증 시범사업과 의료민영화 논쟁
- 인적 특성을 반영한 안전 정보디자인의 개념과 특징
공학 > 컴퓨터학분야 NEW
- 커뮤니티 기반 미디어 아트: 지역 사회적 맥락과 자원을 바탕으로 한 미디어 아트
- 생성형 AI 기반 이미지 생성과 블렌더 파이썬 모델링을 활용한 실시간 콘텐츠 디자인 파이프라인에 관한 연구
- LDA와 Word2Vec을 활용한 「동물의 숲: 뉴 호라이즌스」 리뷰 분석: 힐링 게임 인식에 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