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amination of Cyberbullying Experiences among Korean Students from Different Routine Activity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박신의(Sin-ui Park) 장정현(Jeomg-hyeon Chang) 홍명기(Myeong-Gi H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9권 제3호, 77~10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사이버 공간에서 사이버불링 피해의 유형을 세분화하고, 회귀분석을 통하여 피해의 잠 재집단 특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생활양식/일상활동이론(LRAT)를 중심으로, 사이버불링의 피해유형 에 따라 피해자의 생활양식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분석자료의 가공 및 분석을 위한 도구로써 STATA 16.0의 doLCA 플러그인을 활용하였고, 원자료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2020 년 사이버폭력 실태조사이다. 분석결과 사이버 공간에서 잠재적 따돌림피해 집단은 All-High, Verbal-High, All-Low, Stalking-High, All-Middle 등 5가지로 구분되었고, 각 잠재피해 집단은 All-Low 집단에 비해 사이버 공간에서 가해경험의 정적 영향이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생활양식 및 일상활동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성별과 연령, 인터넷 사용시간 그리고 선호활동은 각 집단 마다 차이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사이버불링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SNS 사용에 의한 사이버불 링의 피해 환경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특히, 사이버상에서 이루어지는 일상활동이 피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개인정보를 공개하는 등의 위험한 행동을 줄일 수 있는 교육이 중요하다.
영문 초록
The study is aim to classify the bullying types in cyberspac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latent victim groups through OLS regression. In particular, focusing on lifestyle-exposure/routine activity theory (LRAT), it was verified how the victim's lifestyle differs according to the type of victimization caused by cyberbullying. The doLCA plug-in of STATA 16.0 was used as a tool for processing and analysis of data. The original data is the 「Cyber Violence Survey 2020」 by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latent bullying victim groups in cyberspace were classified into five groups: All-High, Verbal-High, All-Low, Stalking-High, and All-Middle. Each latent victim group has positive effect of offending experience in cyberspace compared to All-Low group. These findings were explained by lifestyle-exposure and routine activity theory(LRAT). Specifically, sex, age, Internet usage time, and preferred activities revealed difference among each group. Implications through finding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s a result, in order to reduce the cyberbullying victimiza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victimization environment of cyberbullying related to usage of SNS. Particularly, since cyber routine activities can lead to cyberbullying victimization, proper education that can reduce dangerous behaviors such as discl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is importa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찰공무원의 성인지 감수성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 경찰활동에 대한 인식이 경찰협력의사에 미치는 영향: 경찰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항공보안종사자 전문성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보안검색요원 인식을 중심으로
- 지역별 CCTV 기대효과와 범죄두려움 영향관계
- 형사미성년자 가담 절도범죄의 양상 및 시사점 연구
- 자치경찰제에 관한 정책 평가 연구: 정책평가의 기준과 성공 범주를 중심으로
- 감정노동이 정보경찰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상사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자율주행 시스템을 위한 우회전 구조화에 관한 연구
- 집단민원현장에서 민간경비 업무의 사례분석을 통한 정책적 개선방안
- 북한이탈주민의 범죄취약성이 재산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문화 수용을 중심으로
- 경찰견에 대한 컨베이어벨트 공포소거 훈련 프로그램 개발
- 사이버 범죄 탐지 및 분석기술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사이버불링 피해와 영향요인 연구: 생활양식과 일상활동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Smart Public Transportation Governance for Integrated Mobility, Welfare, and Economy in a Super-Aged Society: A Case Study of Gyeonggi Province and Strategies for National Expansion
- Gender and Substantive Representation: Legislative Effectiveness of Kenya’s Nominated County Assembly Members
- The Emerging and Mapped Discourse of Age-Tech in China: A Textual Analysis of Policy, Research, and Practice Narrative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