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o divorce age and marriage duration affect crime?: Evidence from Korean local governments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김승재(Seung-Jae Kim) 유승원(Seung-Won Yu)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4권 제3호, 41~6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1.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혼이 범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국내외 선행연구는 이혼율 변수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있다. 그러나 이혼율 이외에 이혼과 관련된 변수로서 범죄에 미치는 영향은 다수 존재할 수 있다. 중·장년층의 이혼이 청년층의 이혼보다 이혼자의 삶에 미치는 영향은 크고, 배우자와의 결혼기간이 길수록 안정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 이러한 사항이 범죄비용 및 인간관계에서의 갈등 등에 영향을 미쳐 범죄 유발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고려하여,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15년까지 16개 광역 지자체별 거시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혼율 외에 이혼관련 변수(이혼연령, 결혼기간)가 범죄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대수명 등을 통제한 이후, 이혼연령은 범죄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결혼기간은 범죄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혼연령, 결혼기간, 이혼율의 순서로 범죄에 영향을 미치는 등 이혼율보다 이혼연령 및 결혼기간이 범죄를 설명하는 보다 유용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선행연구에서 이혼율이 범죄를 설명하는 정도 중 상당 부분은 사실상 이혼연령 및 결혼기간에 의해 설명되는 것일 수 있음을 합리적으로 의심해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Prior studies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ivorce and crime focus the divorce rate. However, many variables other than the divorce rate can make an influence on crime. The divorce in middle and older adults may affect crime more than that in younger ones. The longer the living duration with his/her spouse, the stabler the lif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ome divorce-related factors can affect crime costs or conflicts in human relationships, causing crime. Considering it,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s of divorce-related variables such as divorce age and marriage duration on crime, using data from 2001 to 2015 collected from 16 Korean local governments. The analysis result after controlling the life expectancy, etc. is that divorce age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crime and marriage duration has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crime. It can also be confirmed that divorce age and marriage duration are more useful variables to explain crime than divorce rate. As a result, it is reasonable to have a doubt that much of the extent to which divorce rate account for crime in prior studies can in fact be explained by divorce age and marriage duration.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Ⅲ. 연구 가설
Ⅳ. 연구 설계
Ⅴ. 실증 분석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가재난 관리에 있어 경찰정보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THE ETIOLOGY OF INTELLIGENCE ON JUVENILE DELINQUENCY USING A LOGISTIC REGRESSION
- 「연안사고 예방에 관한 법률」상의 위험구역관리 개선방안
- 경찰공무원의 회복탄력성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검찰개혁에 관한 신문기사 언어 네트워크 분석과 검찰개혁 방안으로서 검경 수사권 조정
- 비트코인관련 범죄유형별 사례분석 및 대응방안
- 경찰공무원의 지식공유 및 지식이전에 관한 연구
- 이혼연령과 결혼기간이 범죄에 미치는 영향: 광역 지자체별 분석
- 제주자치경찰단 관광경찰제의 현황과 미래지향적 제언
- IPA기법을 활용한 항공보안 역량강화에 관한 연구: 법·제도 정비를 중심으로
- 신임 경찰 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PBL 교육 활성화 방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