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rovement Alternates of Danger Zones in 「the Act on Prevention of Accidents at Coastal Sea」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노호래(Ho-Rae Roh)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4권 제3호, 89~11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1.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연안사고 예방에 관한 법률」을 검토하여 이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위험구역과 출입통제구역의 설정절차와 기준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위험구역관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안사고 예방에 관한 법률」은 2014년 5월 21일 제정되어 동년 8월 22일에 시행됨에 따라 해양경찰청 훈령인 「연안사고 안전관리 규정」이 제정되어 그 구체적인 시행방안이 정해졌다.
연안사고란 연안해역에서 발생하는 인명에 위해를 끼치는 사고로서 갯벌·갯바위·방파제·연육교·선착장·무인도서·해수욕장 등 바다 근접지역에서 바다에 빠지거나 추락·고립 등으로 발생한 사고와 연안체험활동 중에 발생한 사고를 말한다.
2016년 말 현재 동법에 따른 우리나라 전체에서 위험구역은 1,647개소가 지정되어 있고, A급이 192개소, B급이 309개소, C급이 1,146개소가 있고, 출입통제장소는 전국적으로 20개소 지정되어 있다. 관련 문제점으로는 위험구역 지정절차상의 문제, 출입통제구역 지정과 관리상의 문제가 있다. 위험구역 관리 개선방안으로 해양경찰의 조직적 관리방안, 위험구역과 출입통제지역 지정절차의 개선, 연안사고 개념의 적정화와 각종 기준의 신설, 위험구역 위험성 홍보를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study is aim to suggest improvement alternates through reviewing dangerous zones and access control zones of「Act on Prevention of Accidents at Coastal Sea」. And improvement alternate is suggested from analysis of processing procedure of selection dangerous zones and access control zones in 「Act on Prevention of Accidents at Coastal Sea」.
「Act on Prevention of Accidents at Coastal Sea」was established 2014. 5. 21. and went into effect 2014. 8. 22. 「Safety Management Regulations for Accidents at Coastal Sea」was enacted for shaping up「Act on Prevention of Accidents at Coastal Sea」.
The term “accident at coastal sea” means the following accidents that occur in coastal sea areas, causing danger and injury to people. ① An accident caused by falling into the sea from mud flats, rocks on the seashore, bulwarks, land-connecting bridges, docks, uninhabited islands, etc., or by crash, isolation, etc.; ②) An accident that occurs during coastal sea experience activities. as of 2016. 12, there are dangerous zones 1,647, access control zones 20 and are A grade 192, B grade 309, C grade 1,146 in south korea.
Improvement alternates of Dangerous zones is to organizational management plans of Maritime police, improvements of dangerous zones and access control zones’s procedure, rationalization of accident at coastal sea legal meaning and new-making of various criterions about dangerous conditions, policies plans of danger possibility publicizing.
목차
Ⅰ. 서론
Ⅱ. 「연안사고예방에 관한 법률」의 구조와 선행연구의 검토
Ⅲ. 위험구역지정과 출입통제장소의 검토
Ⅳ. 위험구역관리 개선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가재난 관리에 있어 경찰정보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THE ETIOLOGY OF INTELLIGENCE ON JUVENILE DELINQUENCY USING A LOGISTIC REGRESSION
- 「연안사고 예방에 관한 법률」상의 위험구역관리 개선방안
- 경찰공무원의 회복탄력성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검찰개혁에 관한 신문기사 언어 네트워크 분석과 검찰개혁 방안으로서 검경 수사권 조정
- 비트코인관련 범죄유형별 사례분석 및 대응방안
- 경찰공무원의 지식공유 및 지식이전에 관한 연구
- 이혼연령과 결혼기간이 범죄에 미치는 영향: 광역 지자체별 분석
- 제주자치경찰단 관광경찰제의 현황과 미래지향적 제언
- IPA기법을 활용한 항공보안 역량강화에 관한 연구: 법·제도 정비를 중심으로
- 신임 경찰 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PBL 교육 활성화 방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