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내 항공승무원의 보안인식과 항공보안요원의 위기대응능력 조사

이용수  9

영문명
The Study on Domestic Flight Attendants is View of Security Awareness and Crisis Management Capacity of In-Flight Security Officers
발행기관
한국치안행정학회
저자명
정상헌(Sang-hun Jung) 조성구(Sung-Gu Jo) 김동제(Dong-Je Kim)
간행물 정보
『한국치안행정논집』제11권 제3호, 141~16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1.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재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항공보안 실패 사례는 창랑호 납치사건(1958), KAL YS-11 납치사건 (1969), KAL F-27 납치미수사건 (1971), KAL B727 납치미수사건(1985), KAL KE858기 공중폭파 사건(1987), KAL B747 납치미수 사건(1988), KAL 388 납치미수 사건(1993)등이 있다. 이에우리정부는 1969년 항공기 납북사건 이후 사복경찰관과 함께 항공보안요원에게 무기 휴대를 허용하게 하였으며, 1970년부터는 항공보안요원을 청원경찰로 하여 업무를 수행하게 하였다. 이후 2008년부터 항공기내에 보안요원이 탑승하는 제도를 도입하였지만 이것은 객실승무원중보안승무원을 지정하는 개념으로 현재 항공기내에서 얼마나 실효적인 역할과 효과가 있는지는 의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의 항공기내 승무원 148명을 대상으로 보안 인식을 탐색적으로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 매우 안전하다(4.7%), 안전하다(23.6%), 그저 그렇다(56.7%), 불안전하다(25.6%), 매우불안전하다(2.7%)로 나타났고 ‘그저 그렇다’는 의견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또한 항공기내 승무원의 위기 대응능력에 대한 연구결과 매우높다(13.5%), 높다(29%), 그저 그렇다(43%), 부족하다(19.5%%), 매우부족하다(2.7%)로 나타났으며, ‘그저 그렇다’는 의견이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항공기내의 보안에 대한 무관심과 안전 불감증이 매우 높은 상황임을 알 수 있다. 항공보안의 경우 한 번의 사고가 대형 참사로 이어지는 특징과 현재 급증하고 있는 항공교통수단의 확대 그리고 북한의 도발 등을 고려하여 항공 보안의 대응체제를 제고해보아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Until now, cases of domestic aviation security failures in Korea are Changlanghohijacking(1958), KAL YS-11 kidnapping(1969), kidnapping of KAL F-27(1971), theattempted B727(1985), the midair explosion of KAL KE858(1987), the attemptedkidnapping of KAL B747(1988), the attempted hijacking of KAL 388(1993), et cetera. So,after the aircraft hijacking to North Korea in 1969, our Korean government allowedaviation security personnel to carry the mobile weapon, along with a plain-clothespoliceman. Since 1970, it has made the private police(rent-a-cop) carry out security dutyas the aviation security personnel. The system of in-flight security officers on board within the aircraft has beenintroduced since 2008. However, one of flight attendants is designated as in-flightsecurity personnel. And then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re are any effective role andefficiency within the aircraf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how the current domestic commercialflight attendants are conscious of the aviation security. The result of it shows that ‘verysafe’ is 4.7%, ‘safe’ is 23.6%, ‘so-so’ is 56.7%, ‘unsafe’ is 25.6%, and ‘very unsafe’ is 2.7%. ‘So-so’ opinion has taken the highest percentage. And the research on crisis managementcapacity of the in-flight crews shows that ‘very high’ is 13.5%, ‘high’ is 29%, ‘so-so’ is43%, ‘lacking’ is 19.5%, and ‘very lacking’ is 2.7%. ‘So-so’ opinion has taken the highestpercentage, too. Taking together these research results, we know that indifference and insensitivitytoward aviation security is very high. If there is the accident related to the aviationsecurity, it is connected with great tragedy. Currently, considering the rapid increase ofair transportation and the provocation of North Korea, we should rethink the confrontation system of the aviation secur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상헌(Sang-hun Jung),조성구(Sung-Gu Jo),김동제(Dong-Je Kim). (2014).국내 항공승무원의 보안인식과 항공보안요원의 위기대응능력 조사. 한국치안행정논집, 11 (3), 141-162

MLA

정상헌(Sang-hun Jung),조성구(Sung-Gu Jo),김동제(Dong-Je Kim). "국내 항공승무원의 보안인식과 항공보안요원의 위기대응능력 조사." 한국치안행정논집, 11.3(2014): 141-1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