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박동균(Dong-Kyun Park) 박기범(Ki-Beom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8권 제1호, 77~9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5.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산불은 지구상에서 존재하는 가장 오래된 재난 중 하나이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산림의 구조와 지형, 기후특성상 산불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이다. 즉 산림이 울창하고 가연성 낙엽 등이 많이 쌓여 있으며, 경사가 급하고 기복이 많은 산지로서 연소진행 속도가 빨라 산불 발생 시 급속하게 확산된다. 최근에는 웰빙 바람을 타고 등산인구가 늘어나 공휴일과 연휴 등 특정기간에 산불이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 분석한 산불 재난은 다음과 같은 속성을 갖고 있다. 첫째, 산불의 발생 양상이 점차 다양화ㆍ대형화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산불로 인한 피해 또한 천문학적으로 크다. 둘째로, 산불 발생이 도발적ㆍ가변적이어서 불확실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고 셋째, 산불 발생에 대한 대응조치를 취하는 시간이 극히 적어서 위기관리에 대한 평상시의 세심한 대책의 필요성이 강력하게 대두된다. 따라서 산불 위기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정책집행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2005년 4월 4일에 발생한 양양산불 화재사고를 정책사례로 선정하여 산불재난 대처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위기관리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대한민국에서 미래에 산불의 발생을 줄이고, 그 피해를 줄여 나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건조기인 봄철, 특히 임내습도가 낮은 시기를 산불 발생 위험시기로 지정하여, 이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가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입산 인구에 대한 적실성 있는 통제와 교육을 강화하고, 대국민 홍보활동에도 전력을 기울이는 등 사전대비 위기관리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또한, 불가피하게 발생한 산불에 대해서는 조기에 산불을 진화할 수 있는 조기발견 시스템의 확립과 진화인력의 확보, 현대적인 진화장비를 갖춘 대형소방 헬기와 첨단장비의 확충 및 효율적인 진화기술의 개발 등이 필수적이다. 특히 국보·보물급 문화재가 있는 사찰의 경우, 소형 진화차의 상설 배치, 스프링클러의 설치, 연중 산불진화 비상훈련의 정례화 등을 의무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Natural disasters exhibit seasonal characteristics. In Korea, forest fires are the most dangerous type of disaster in spring, whereas storms and floods(including typhoons) pose major threats in summer.
Korea is likely to experience forest fires because of its forest characteristics, topography, and climate. Korea’s highly dense forests are covered with many fallen leaves, which are easy to burn. When a fire breaks out, the steep and undulating mountains help the fire to spread at an alarming rate. In particular, seasonal winds during dry periods in spring help fires to spread across multiple areas simultaneously.
As the five-day work week system extends throughout the country, the danger is concentrated in certain days such as holidays and long weekends. Recent forest fires have exhibit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ey have been getting larger and more diversified. Accordingly, the damages are astronomical. Second, because of their efficiency and variability, outbreaks have become increasingly difficult to predict. Third, as the time available to fight a forest fire is extremely short, detailed daily crisis management plan is crucial.
Forest fires not only ruin forests but also devastate ecosystems, destroy cultural assets, and sweep away the livelihood of those living in rural areas. Forest fires typically occur as a result of human activity(mistakes or carelessness), not natural factors. Gaining access to fight forest fires is a lengthy and difficult task, and securing a suitable source of water is not easy. In particular, night-time forest fires make fire control even more difficult.
Thus, to minimize damage from forest fires, the key focus should be on spring(the period of greatest danger), and suitable countermeasures should be established accordingly. Further, proper and practical control over people using mountains(e.g., climbers) should be strengthened, and efforts should be made to increase the public’s awareness of the dangers of forest fires. In addition, to address unavoidable forest fires, an effective early detection system, sufficient manpower, and large fire-fighting helicopters(along with other cutting-edge equipment) are needed. Finally, in places where there are cultural assets(e.g., temples with national treasures), smaller fire engines should be on standby, and a sprinkler system should be in place. Without a doubt, regular training programs for fire fighters are critical.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A case study : The Yangyang forest fire
	                       
	                          Ⅳ. Crisis management policy to prevent forest fires
	                       
	                          V. Conclus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찰지식관리시스템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폭력적 영상물에의 노출이 청소년의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해상테러행위에 대한 법적 대응방안
 - 경찰시험제도의 개편에 대한 고찰 : 일반 순경과 경찰간부후보생 채용을 중심으로
 - 해외 한국인의 납치사건 문제점과 대응방안
 - 대학 경호학과 교육서비스 품질이 대학생활 적응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율방범대 법률 제정 방향에 관한 논의 : 자율방범대원과 경찰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 형의 집행 및 수용자의 처우에 관한 연구
 - Characteristics of Forest Fires in Korea and Crisis Management Policy
 - 국가중요시설 안전관리 강화방안 :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 경호학의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 경찰일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뉴테러리즘의 의미재정립과 대응에 관한 연구
 - 한국 민간조사제도 도입을 위한 정책 제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트라이포트 마약탐지 기술-정책 융합 전략
 - 중동 드론위협 양상에 따른 대드론 시스템 발전방안 연구 : 드론테러 발생 위험도 평가모델 적용
 - 경찰특공대 직무특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 매개효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