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he Design and Application Effects of Liberal Arts Course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 Focusing on M University's Experience-based Courses
- 발행기관
- 건양대학교 웰다잉융합연구소
- 저자명
- 구진희(Jin-Hui Ku)
- 간행물 정보
- 『한국건강사회융합연구』제3권 제1호, 83~9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교양 교과목을 설계하고 수업에 적용한 후 그 효과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를 위해 현재 일상적으로 접하는 인공지능 기술을 중심으로 인공지능 교양 교과목 내용을 설계하였고 수업 전과 후 학생들의 교과 내용에 대한 평균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사전․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는 인공지능의 개념, 기술 이해 및 활용, 사회적 영향 등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16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분석 프로그램은 SPSS 24.0, Excel 2016을 사용하였으며, T-검증 및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인공지능 기본 개념 이해 영역의 평균은 4.46, 인공지능 기술 이해 및 활용 영역평균은 4.32, 인공지능 기술의 사회적 영향에 대한 이해 영역의 평균은 4.30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 적용 전과 후에 대한 사전․사후분석 결과, 인공지능 기본 개념 이해 영역과 인공지능 기술의 사회적 영향 영역의 평균은 모든 문항에서 교과목 이수 전과 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만, 인공지능 기술 이해 및 활용 영역에서 머신러닝 모델을 프로그램으로 구현하는 과정에 대하여 교과목 이수 전과 후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는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의 블록 코딩일지라도 프로그래밍 언어를 체계적으로 배우지 않은 상태에서 교수자의 안내에 따라 프로그래밍을 작성하였기 때문에 학생들은 자신이 완전하게 이해하고 있다고 인식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하면서 인간과 사회 전반에 걸친 변화와 영향 관계에 대하여는 교과목 이수와 상관없이 어느정도 인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liberal arts course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apply it to classes, and explore its effects. For the study, the contents of the liberal arts course for artificial intelligence were designed arou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that are currently encountered in daily life, and a pre- and post-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average difference in students' course contents before and after the class. The research tool consisted of 16 questions to identify changes in awareness of the concept of artificial intelligence,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technology, and social impact. The analysis program used SPSS 24.0 and Excel 2016, and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verage of the area of understanding basic concep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was 4.46, the average of the area of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as 4.32, and the average of the area of understanding the social imp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as 4.30. As a result of the pre- and post-analysis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curriculum, the averages of the areas of understanding basic concep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areas of social imp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completing the course in all questions. However, in the area of understanding and utiliz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e average difference before and after completing the cours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machine learning models as programs. This is because students did not systematically learn programming languages and wrote the programs under the guidance of the instructor, even though it was block coding based on a cloud platform, so it is judged that they did not perceive that they fully understood it.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y were somewhat aware of the changes and influences on humans and society as a whole a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developed, regardless of completing the course.
목차
Ⅰ. 서론
Ⅱ. 관련 연구
Ⅲ. 연구 설계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세포교정영양요법(OCNT)을 이용한 녹내장 개선 사례
- 세포교정영양요법(OCNT)을 이용한 백신 이상반응 개선 사례 보고
- 세포교정영양요법(OCNT)을 이용한 갑상선 기능 저하증 개선 사례 보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