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일부 남성 소방공무원의 폐 기능 상태 및 관련요인

이용수  5

영문명
Associated Factors of Lung Function among Some Male Firefighters in Korea
발행기관
건양대학교 웰다잉융합연구소
저자명
김대성(Dae-Seong Kim) 배석환(Seok-Hwan Bae) 박정희(Jung-Hee Park) 이태준(Tae-Jun Lee) 이무식(Moo-Sik Lee)
간행물 정보
『한국건강사회융합연구』제2권 제1호, 11~3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5.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소방공무원들은 화재현장에서 각종 유해물질을 흡입하게 되며, 이로 인해 호흡기 및 폐질환이 발생함으로써 그들의 건강이 위협받고 있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일부 소방공무원의 유해물질 노출군과 비노출군의 폐기능 검사 결과를 비교하고, 폐기능 검사 및 환기기능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유해물질 노출군과 비노출군의 폐기능 검사 결과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FEV1/FVC(%)에서는 연령과 신장 등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PEF는 연령, 체중, 현 부서 근무기간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5). 환기기능 장애 유무와 관련된 유의한 영향요인은 흡연이었으며, 비흡연자에 비해 상대위험도는 1.949배였다(p<0.05). 소방공무원의 유해인자 노출여부는 폐기능 검사 결과와 차이가 없었으며, 폐기능 검사 결과의 관련요인으로는 연령, 현 부서 근무기간, 신장, 체중 등이었으며, 환기기능 장애 유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흡연이었다.

영문 초록

Fire officials inhale various harmful substances at the fire site, which threatens their health by causing respiratory and lung diseas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 lung function tests and ventilatory function status by conducting analysis of the lung function test(VC(L), FVC(%), FEV1(L), FEV1(%), FEV1/FVC(%), and PEF) results of 420 firefighter groups exposed to harmful substances and those who did not have such exposur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lung function tests between the exposed and non-exposed groups of harmful substances. In FEV1/FVC(%), age and height were significantly affected, and in PEF, age, body weight, and working period in the current department were significantly affected(p<0.05). Smoking was a significant influence factor related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lung ventilation dysfunction, and the relative risk was 1.949 times higher than that of non-smokers(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lung function test results in whether fire officials were exposed to harmful factors, and the related factors of the lung function test were age, working period of current department, height, and body weight. Smoking status was only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lung ventilation dysfunc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재료 및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대성(Dae-Seong Kim),배석환(Seok-Hwan Bae),박정희(Jung-Hee Park),이태준(Tae-Jun Lee),이무식(Moo-Sik Lee). (2023).한국 일부 남성 소방공무원의 폐 기능 상태 및 관련요인. 한국건강사회융합연구, 2 (1), 11-31

MLA

김대성(Dae-Seong Kim),배석환(Seok-Hwan Bae),박정희(Jung-Hee Park),이태준(Tae-Jun Lee),이무식(Moo-Sik Lee). "한국 일부 남성 소방공무원의 폐 기능 상태 및 관련요인." 한국건강사회융합연구, 2.1(2023): 11-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