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nceptual Issues and Tasks of Character Education: Focusing on a Comparison with Related Concept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회
- 저자명
- 권선향(Sun Hyang Kwon)
- 간행물 정보
- 『교육철학』제43권 제2호, 21~54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대 교육 환경에서 인성교육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그러나 “인성”이라는 개념은 종종 모호하며, 본성, 덕성, 성격, 인격, 시민성과 같은 관련 용어와 중복된다. 이러한 개념적 혼란은 교육과정 설계 및 평가에 어려움을 야기하고, 인성교육의 명확성과 효과를 저해한다. 본 연구는 인성과 그와 밀접하게 연관된 다섯 가지 개념, 즉 본성, 덕성, 성격, 인격, 시민성 사이의 경계와 교차점을 철학적, 역사적, 심리학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러한 개념들을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는 인성의 고유한 본질과 범위를 명확히 하고, 그 이론적 기반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관련 개념의 보완적 요소들을 활용하면서 인성의 독특성을 존중하는 교육과정 설계에 대한 실질적인 적용 방안을 제시한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개념적 명확화는 학교에서 인성교육을 더욱 일관되고 효과적으로 시행하는 데 기여한다.
영문 초록
In contemporary educational contexts, character education has gained increasing importance. However, the concept of “character” often remains ambiguous, overlapping with related terms such as nature, virtue, personality, temperament, and citizenship. This conceptual confusion leads to challenges in curriculum design and assessment, undermining the clarity and effectiveness of character education.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boundaries and intersections between character and its five closely associated concepts—nature, virtue, personality, temperament, and citizenship—through philosophical, historical, and psychological lenses. By analyzing these concepts, the research aims to clarify the unique nature and scope of character, reinforcing its theoretical foundation. It also proposes practical applications for curriculum design that respect the distinctiveness of character while leveraging complementary elements from related concepts. Ultimately, this conceptual clarification contributes to a more coherent and effective implementation of character education in schools.
목차
Ⅰ. 들어가는 글
Ⅱ. 인성 개념의 역사적·철학적 고찰
Ⅲ. 유사 개념들과 인성개념의 관계
Ⅳ. 인성과 유사 개념의 공존을 위한 실천적 방향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제주이해(제주정체성)교육으로 살펴본 인정도서 『제주배움』: <탐라개국신화> 주제를 중심으로
- 대통령 탄핵 사건을 통해 본 초등학생의 정치 현안 인식과 사회과 수업의 시사점
- 사회과 감정지도화 프로젝트 수업을 통한 학교 공간의 장소감 변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