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ays of Truth and Ways of Salvation: The Catholic Theology of Religions after the Second Vatican Council
- 발행기관
- 한국신학아카데미
- 저자명
- 정경일(Kyeongil Jung)
- 간행물 정보
- 『신학과 교회』제10호, 183~20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62년에서 1965년까지 개최된 ‘제2차 바티칸공의회’는 가톨릭 역사만이 아닌 그리스도교 역사에서 획기적 이정표이자 분수령이 된 사건으로, 그 충격과 영향은 16세기 종교개혁에 맞먹을 것이다. 공의회의 목표는 ‘아조르나멘토’(Aggiornamento)라는 표어에 담겨 있는 ‘현대화’다. 즉 과학, 이성, 민주주의와 인권, 종교다원성과 같은 현대성에 적응하고 응답하기 위해 교회를 쇄신하는 것이다. 그중에서도 비그리스도교 종교에 대한 가톨릭교회의 관점과 태도의 변화—배타주의에서 포용주의로―는 공의회의 중요한 역사적 유산 중 하나다. 이 글은 오늘날까지 가톨릭종교 포용주의의 지도(地圖)와 나침반이 된 제2차 바티칸공의회의 공식문헌인 〈비그리스도교와 교회의 관계에 대한 선언: 우리 시대(Nostra Aetate)〉(1965)의 신학적, 교회적 의미를 살펴본다.
영문 초록
The Second Vatican Ecumenical Council(1962-1965) marked a groundbreaking milestone and watershed not only in the history of Catholicism in particular but also of Christianity in general, the impact and influence of which might be equivalent to that of the Reformation of the sixteenth century. The goal of the Council was ‘modernization’, which is implied in its motto “Aggiornamento”, meaning “a bringing up to date.” It is to reform the church in order to adapt and respond to the modern realities, such as science, reason, democracy, human rights, and religious plurality. Of them, the Catholic Church’s change in her perspective and attitude toward non-Christian religions has been the most important historical legacy of the Council. Thus, this article examines the theological and ecclesial meaning of the conciliar “Declaration on the Relation of the Church with Non-Christian Religions”(1965), which has been a map and compass of the religious inclusivism of the Catholic Church today.
목차
I. 여는 말: 일치 속의 다양성
II. “말씀의 씨앗”: 초대교회의 비그리스도교 종교 이해
III. 배타의 시대: 교회중심주의의 등장
IV. 제2차 바티칸공의회와 이웃종교
V. 맺음말을 대신하여: 제2차 바티칸 이후의 순류(順流)와 역류(逆流)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신학사상 210집(2025년 가을호) 목차
- 숨밭 김경재의 성령 이해 - 『성령론』(1997) 강의를 중심으로
- 숨밭 김경재의 ‘대승적 민중신학’ - 민중신학 50년에 대한 회고와 오늘의 민중신학을 향한 제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