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Meta-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Existential Theory-Based Group Counseling Focusing on Viktor Frankl's Logotherapy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김형수(Hyoung-Soo KIM) 이병현(Byeong-Hyeon LEE)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12권3호, 97~12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Viktor Frankl의 의미치료를 중심으로 한 실존주의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메타분석을 통해 확인하고, 효과적인 프로그램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 고자 하였다. 국내에서 발표된 실존주의 집단상담 관련 학술지 및 학위논문 총 39편을 선정하여 109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고, R 4.5.0 버전을 활용하여 메타분석을 수행하였 다.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1.15로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회기당 시간에 따라 효과크 기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121분 이상에서 큰 효과크기(1.91)를 보였다. 또한, 개입 대상 특성에서 심리적 어려움을 지닌 중재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큰 효과 크기(1.51)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그동안 국내에서 실시된 실존주의 집단 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종합하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실존주의 집단상담 프 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meta-analysis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existential theory-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s, particularly those grounded in Viktor Frankl’s logotherapy. A total of 39 Korean studies (including journal articles and graduate theses) yielded 109 effect sizes. Using R version 4.5.0, the overall mean effect size was calculated as 1.15, indicating a large effect. Notably, session duration emerged as a significant moderator: programs lasting over 121 minutes showed the highest effect size (1.91). Participant characteristics also moderated outcomes, with clinical or at-risk groups demonstrating significantly higher effects (1.51) than general populations. These findings offer a comprehensive synthesis of existential group counseling outcomes in Korea and provide foundational insights for progra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상담심리교육복지 12권3호 목차
- 군인가족의 행복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상담 전문가의 고용 불안이 상담 현장에 주는 의미 탐색
-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집단상담 수업경험 탐색
-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사람들에게서 멀어짐의 관계: 자기비난과 경험회피의 순차적 매개효과
- 대학생이 지각한 자기통제력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 청소년의 확률형 게임 아이템 구매 과의존과 극복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디지털 성폭력 피해여성의 삶과 적응에 관한 연구
- 메타버스 기반 심리상담 경험 탐색: 중장년 남성사례를 중심으로
- 여성 메스암페타민 중독자의 약물사용 및 회복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에듀테크 수업 경험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리터러시의 매개효과
- 불안정 애착 대학생의 진로 결정 경험 연구
- 신경지(neuroception) 기반 심리적 안전감 척도의 타당화 예비연구
- 실존주의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Viktor Frankl의 의미치료를 중심으로
- 관계상실을 경험한 초기 성인의 불안애착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와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정신화로 조절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