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1979 Women's Labor Movement in Gumi Industrial Complex by Kwon Young-sook : Memories Excluded from the Myth of Industrialization
- 발행기관
- 한국근현대사학회
- 저자명
- 千庸吉(Yong-gil CHEON)
- 간행물 정보
- 『한국근현대사연구』제113집, 161~19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경북 구미는 1970년대 국가산업단지가 조성되면서 도시가 형성된 산업화를 상징하는 도시 중 하나다. 구미공단에는 여성노동자가 대거 유입되었다. 그러나 다수를 차지하는 여성노동자의 기록은 찾아보기 힘들다. 1970년대 여성노동운동이 활발히 전개되었는데, 구미에는 기록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경북 안동 출신 권영숙은 1976년 구미공단에 취업해 1977년 구미도시산업선교회 활동에 참여하면서 1979년 구미공단에서 노동운동을 전개했다. 권영숙은 (주)서통의 동료를 규합해 노동자 의식 실태조사를 진행했고, 부당해고에 저항하는 운동을 전개했다. 이후 1980년대 대구에서 노동운동을 지속했다. 권영숙의 노동운동은 도시화, 박정희의 고향이라는 상징성, 지역 민주화운동과 조응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의미가 있다. 권영숙의 노동운동은 구미 지역사회가 그 동안 여성노동자와 그들의 운동을 기록하는 데 소홀했다는 측면과 산업화 신화에서 배제된 역사를 드러낸다. 이를 통해 지역으로부터 기억과 역사를 기록하는 ‘공공역사’의 단면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구미시와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이 추진하는 ‘산업화역사관’에 구미산선, 권영숙, 그리고 여성노동자의 삶을 기술하는 물꼬가 되었으면 한다.
영문 초록
Gumi, Gyeongbuk Province, is one of the cities that symbolize industrialization, having been formed in the 1970s with the creation of a national industrial complex. A large of female workers were attracted to the Gumi Industrial Complex. Kwon Young-sook, originally from Andong, Gyeongbuk, began working at the Gumi Industrial Complex in 1976 and joined the Gumi Urban Industrial Mission in 1977, leading labor movements at the complex in 1979. Kwon organized her colleagues at Seotong Co., Ltd. to conduct a survey on workers' awareness and launched a campaign against unfair dismissals. She continued her labor activism in Daegu during the 1980s. Kwon's labor movement holds significant meaning as it reflects the urbanization of Gumi, its symbolic connection to Park Chung-hee's hometown, and its alignment with the regional democratic movement. Kwon's labor movement reveals the neglect of Gumi's local community in documenting female workers and their movements, as well as the history excluded from the industrialization myth. It offers a glimpse into the “public history” of recording memories and history from the local level.
목차
1. 머리말
2. 산업도시 형성의 양면성
3. 1979년 노동운동 전개
4.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범죄사건통지서』 발굴과 양주 부평리 만세시위 재구성
- 조선총독부의 토지개량사업(1926~1936) 제도 운영과 한계 - ‘대행기관 체계’의 형성과 균열
- 한국근현대사연구 제113집 목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