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도 서울의 ‘작동적 경관’으로서 북한산 생산 - 1960-80년대 발전주의 도시화와 도시자연공원·그린벨트·국립공원의 도시정치생태
이용수 0
- 영문명
- Producing Bukhansan as an Operational Landscape of Metropolitan Seoul : Developmentalist Urbanization and the Urban Political Ecology of Urban Nature Parks, Greenbelts, and National Parks, 1960s–1980s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 저자명
- 김지영(Jiyoung Kim)
- 간행물 정보
- 『기전문화연구』제46권 제1호, 29~61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60-80년대 발전주의 도시화 속에서, 서울 외곽의 북한산은 「도시계획법」, 「자연공원법」, 「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라 다중 스케일의 공간 전략에 포섭되었다. 서울시의 ‘대공원’ 구상, 개발제한구역 지정(1971), 국립공원 지정(1983)을 거치며, 북한산은 수도의 ‘작동적 경관’으로 생산되었다. 특히, 1983년 건설부는 국립공원 지정을 통해 메가이벤트(1986 서울아시안게임, 1988 서울올림픽)에 대비하여 북한산을 구성하였다. 이는 북한산이 도시경제 체제 속 관광·레저 자산으로 전환된 것을 의미한다. 이 글은 국가가 도시 자연에 대한 통치와 개발을 병치하며 전략적으로 ‘국가-자연(state-nature)’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도시와 비도시의 경계를 형식적으로는 구분짓지만, 기능적으로는 도시적 체계에 포섭해나가는 행성적 도시화의 공간 전략 사례로서 해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영문 초록
Amid the developmentalist urbanization of the 1960s to 1980s, Bukhansan—located on the outskirts of Seoul—was incorporated into multi-scalar spatial strategies formulated through the Urban Planning Act, the Natural Parks Act, and the Capital Region Readjustment Planning Act. Through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Grand Park” initiative, its designation as a Green Belt (1971), and its designation as a national park (1983), Bukhansan was produced as an operational landscape of the capital. The Ministry of Construction’s 1983 designation aimed to prepare for mega-events such as the 1986 Asian Games and the 1988 Seoul Olympics, transforming Bukhansan into a tourism and leisure asset within the urban economy. This article demonstrates how the state strategically configured urban nature as “state–nature,” juxtaposing governance and development. It further reveals how planetary urbanization unfolds by formally maintaining the urban–nonurban boundary while functionally integrating nonurban spaces into the urban system.
목차
1. 서론: 다층적 통치와 이용 사례로서 북한산
2. 발전주의 도시화와 자연의 생산 이론틀
3. 서울의 발전주의 도시화와 북한산의 작동적 경관화
4. 결론: 작동적 경관의 지속적 위기와 재조정 분석의 기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NEW
- 일제강점기 지정면의 공간변화에 관한 연구 - 공주군 공주면을 중심으로
- 조선왕조 태실과 태봉 관련 지명의 공간적 분포와 변천에 대한 역사지리학적 고찰
- 기전문화연구 제46권 제1호 목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