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주택임대차보호법상 계약갱신요구권에 관한 법적 쟁점과 입법적 개선 방안
이용수 0
- 영문명
- Legal Issues and Legislative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Right to Renew Contracts under the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 저자명
- 전정표(Jung Pyo Jun) 이재목(Jae Mok Lee)
- 간행물 정보
- 『법학연구』第36卷 第1號, 333~35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Korea's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has the right to request a contract renewal that allows the tenant to ask the landlord to extend the lease period once. The right to renew the contract contributes to the tenant's housing stability, but it violates the principle of freedom of contract and limits the landlord's property rights. As a result, the landlord legally terminates the lease because he lives in the rental house himself, but in reality, he or she may commit an offense of leaving the house empty or renting it to someone else in order to receive higher rent.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propose the following three legislative improvement measures to solve these problems and to ensure the balance between the tenant's housing stability and the landlord's property rights. First, we propose to establish an automatic extension principle for housing leases and abolish the tenant's right to renew the contract. Second, if the lessor refuses to renew the contract due to his or her actual residence, the lessor will bear the tenant's moving expenses, and if the lessor does not actually live, the government office should check the fact and fine the lessor. Third, we suggest that if the landlord wants to sell the rental house, he or she will be allowed to terminate the lease, but that the tenant will be able to purchase the house in preference to someone other than the tenant.
The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is a minimum institutional device that protects tenants from a stable residential life. We need to develop through continuous improvement without regression.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계약갱신요구권의 법적 성질 및 입법 과정
Ⅲ. 외국의 계약갱신요구권 제도
Ⅳ. 계약갱신요구권에 관한 법적 쟁점과 입법적 개선 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타인 간 대화 녹음물의 증거능력과 정당행위 - 수원지방법원 2024. 2. 1. 선고 2022고단7025 판결을 중심으로
- 고소인에 대한 수사상 제출명령 제도에 관한 연구
- 대만(台灣)의 교육법 체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상가건물 임차인의 갱신거절 통지와 묵시적 갱신 - 대법원 2024. 6. 27. 선고 2023다307024 판결에 대한 평석을 중심으로
- 주택임대차보호법상 계약갱신청구권과 임대료 인상률 제한에 관한 논의
- 공정한 재판과 석명 활성화 논의의 필요성
-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 제29조 제1항과 관련한 ‘법률상 손해배상책임이 있는 자’의 범위
- 저당재산의 자유로운 양도 허용과 추급효 인정에 관한 고찰 - 2020년 중국 민법전의 저당권 규정을 중심으로
- 중국 플랫폼 종사자의 법적 보호 현황과 개선방안에 대한 소고 - 12호 문건을 중심으로
- 디지털사회에서의 인격권보호에 관한 법적 고찰
- 범죄수익은닉규제법, 불법정치자금몰수특례법, 부패재산의몰수특례법 - 해당 특별법 관련판례 및 조문을 중심으로
- 교정시설 수용자의 처우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착오로 인한 의사표시와 경제적 불이익의 관계
- 혼인무효의 소와 확인의 이익 - 대법원 2024. 5. 23. 선고 2020므15896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 주택임대차보호법상 계약갱신요구권에 관한 법적 쟁점과 입법적 개선 방안
- AI를 이용하여 작성한 특허명세서의 실효성 확보 방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