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가건물 임차인의 갱신거절 통지와 묵시적 갱신 - 대법원 2024. 6. 27. 선고 2023다307024 판결에 대한 평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Tenant’s Notice of Non-Renewal and Implied Renewal in Commercial Lease Agreements : An Analysis of Supreme Court Decision 2023Da307024, Rendered on June 27, 2024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 저자명
- 김판기(Pan Gi KIM)
- 간행물 정보
- 『법학연구』第36卷 第1號, 177~19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A lease is a contract that takes effect when the lessor agrees to allow the lessee to use and benefit from the leased object, and the lessee agrees to pay rent in return. While a lease generally terminates upon the expiration of its term, its duration may be extended either through a renewal by agreement between the parties or by implied renewal under certain statutory conditions. The case analyzed in this article concerns whether the existing commercial lease contract could be deemed renewed when the lessee notified the lessor of the intention to refuse renewal only one day before the expiration of the lease term. This issue arises because, despite the similarities in lease types, different interpretations may result depending on whether the general Civil Act or special statutes such as the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or the Commercial Building Lease Protection Act apply, as each law prescribes different rules on renewal.
This paper examines the statutory provisions on lease renewal under Korean law,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rules governing the refusal of renewal by both lessors and lessees. It assesses whether the interpretation presented in the court’s decision is reasonable and appropriate. Furthermore, building on this case commentary, the paper explores whether the current provisions regarding the renewal of commercial building leases are fair and reasonable for both lessors and lessees. Based on this analysis and with reference to comparative legislative examples, this article proposes specific legislative amendments to the Commercial Building Lease Protection Act, particularly concerning the lessee’s right to refuse renewal.
In both residential and commercial leases, it is essential to strike a balance between the lessee’s right to residential stability and the lessor’s right to protect their property interests. The predictability and stability of the lessor’s position are just as important as the protection of the lessee. If legal balance and harmony between the two parties can be achieved in commercial lease agreements, disputes like the one addressed in this cas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영문 초록
목차
Ⅰ. 사실관계
Ⅱ. 법원의 판단
Ⅲ. 평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타인 간 대화 녹음물의 증거능력과 정당행위 - 수원지방법원 2024. 2. 1. 선고 2022고단7025 판결을 중심으로
- 고소인에 대한 수사상 제출명령 제도에 관한 연구
- 대만(台灣)의 교육법 체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상가건물 임차인의 갱신거절 통지와 묵시적 갱신 - 대법원 2024. 6. 27. 선고 2023다307024 판결에 대한 평석을 중심으로
- 주택임대차보호법상 계약갱신청구권과 임대료 인상률 제한에 관한 논의
- 공정한 재판과 석명 활성화 논의의 필요성
-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 제29조 제1항과 관련한 ‘법률상 손해배상책임이 있는 자’의 범위
- 저당재산의 자유로운 양도 허용과 추급효 인정에 관한 고찰 - 2020년 중국 민법전의 저당권 규정을 중심으로
- 중국 플랫폼 종사자의 법적 보호 현황과 개선방안에 대한 소고 - 12호 문건을 중심으로
- 디지털사회에서의 인격권보호에 관한 법적 고찰
- 범죄수익은닉규제법, 불법정치자금몰수특례법, 부패재산의몰수특례법 - 해당 특별법 관련판례 및 조문을 중심으로
- 교정시설 수용자의 처우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착오로 인한 의사표시와 경제적 불이익의 관계
- 혼인무효의 소와 확인의 이익 - 대법원 2024. 5. 23. 선고 2020므15896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 주택임대차보호법상 계약갱신요구권에 관한 법적 쟁점과 입법적 개선 방안
- AI를 이용하여 작성한 특허명세서의 실효성 확보 방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