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소인에 대한 수사상 제출명령 제도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Submission Order System for Complainant at the Investigation Stage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 저자명
- 홍찬영(Chan Yeong Hong)
- 간행물 정보
- 『법학연구』第36卷 第1號, 63~8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In practice, the term “cooperative seizure and search” is frequently used. Cooperative seizure and search is a form of seizure and search in which the confiscated party actively cooperates with the execution of seizure and search by investigative agencies such as the police, and is usually expressed in the process of a property investigation of a person unrelated to the suspect. Considering that seizure and search are usually a compulsory disposition that strongly restricts the basic rights of the person to be seized, cooperative seizure and search seem to have no problem in that they can minimize restrictions on basic rights that occur in the execution stage. However, the story of a cooperative search and seizure is different in the form of a formal use of a search and seizure, which is a compulsory disposition, to avoid punishment for submission of materials, such as a violat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even though the Complainant actively wishes to submit materials.
Not only is it inefficient in investigation, but it is also because the recovery of the victim's rights is limited due to the delay in investigation and the decline in investigation power. Nevertheless, the reason for such a form of cooperative seizure and search is that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does not allow voluntary submission of data containing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submission order system stipulated in the Criminal Procedure Act is not recognized at the investigation stage. Therefore, this study reviewed the restrictions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the Criminal Procedure Act, which are the causes of cooperative seizure and search against the complainant, and the resulting problems, and proposed a submission order system for the complainant as an improvement measure. I hope this study will help improve the investigation process for complaints, even if it is weak.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고소인에 대한 협조적 압수·수색의 발생원인 및 문제점
Ⅲ. 고소인에 대한 수사상 제출명령 제도의 도입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타인 간 대화 녹음물의 증거능력과 정당행위 - 수원지방법원 2024. 2. 1. 선고 2022고단7025 판결을 중심으로
- 고소인에 대한 수사상 제출명령 제도에 관한 연구
- 대만(台灣)의 교육법 체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상가건물 임차인의 갱신거절 통지와 묵시적 갱신 - 대법원 2024. 6. 27. 선고 2023다307024 판결에 대한 평석을 중심으로
- 주택임대차보호법상 계약갱신청구권과 임대료 인상률 제한에 관한 논의
- 공정한 재판과 석명 활성화 논의의 필요성
-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 제29조 제1항과 관련한 ‘법률상 손해배상책임이 있는 자’의 범위
- 저당재산의 자유로운 양도 허용과 추급효 인정에 관한 고찰 - 2020년 중국 민법전의 저당권 규정을 중심으로
- 중국 플랫폼 종사자의 법적 보호 현황과 개선방안에 대한 소고 - 12호 문건을 중심으로
- 디지털사회에서의 인격권보호에 관한 법적 고찰
- 범죄수익은닉규제법, 불법정치자금몰수특례법, 부패재산의몰수특례법 - 해당 특별법 관련판례 및 조문을 중심으로
- 교정시설 수용자의 처우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착오로 인한 의사표시와 경제적 불이익의 관계
- 혼인무효의 소와 확인의 이익 - 대법원 2024. 5. 23. 선고 2020므15896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 주택임대차보호법상 계약갱신요구권에 관한 법적 쟁점과 입법적 개선 방안
- AI를 이용하여 작성한 특허명세서의 실효성 확보 방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