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Appearance and Reality of Gil Sam-bong in Kichukoksa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저자명
- 박상현(Sang-Hyun Park)
- 간행물 정보
- 『민족문화논총』제89집, 37~6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길삼봉의 존재는 정여립의 역모를 사실화하는 근거 중 하나였다. 그러나 그는 끝내 체포되지 않았고, 실체마저도 모호한 인물이었다. 당대에는 길삼봉 을 둘러싼 논란을 정여립이 역모를 위해 만든 가상 인물로 일단락지었으나, 여기에는 여러 의문과 의혹이 자리하고 있다. 길삼봉은 과연 정여립이 만들어 낸 인물인가? 그렇다면 길삼봉이라는 인물을 왜 만들어 냈는가? 이러한 물음 에서 시작한 길삼봉의 실체 검토 및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길삼봉에 관한 진술 내용은 진술자마다 다르거나 어긋났다. 진술자들 이 정여립과 잦은 만남을 통해 길삼봉 이야기를 들었고, 심지어 직접 만났다 고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진술이 각기 달랐던 사실은 진술 내용을 신뢰할 수 없음을 시사한다.
둘째, 정여립의 인지도와 인적 네트워크, 역모의 명분 등을 고려했을 때, 정 여립이 굳이 흉포한 도적이었던 길삼봉을 만들어 낼 필요는 없었다. 설령 역 심을 품고 길삼봉을 만들었다고 가정해도 진술자들에게 그에 관한 어긋난 정 보를 전할 필요 또한 없었다. 그런데 진술자마다 진술 내용이 달랐고, 심지어 어긋나기까지 했다는 사실은 정여립이 길삼봉을 만들거나 내세웠을 가능성이 희박함을 방증한다.
셋째, 동인을 원망하던 송한필 형제가 길삼봉 이야기를 퍼뜨렸다는 주장이 있다. 길삼봉 이야기를 퍼뜨렸다던 의연 지함두의 진술 내용이 없던 점과 이・ 야기가 유독 서인의 영향력이 컸던 해서 지역에 퍼졌던 이유를 해소할 수 있 다는 점에서 정여립의 유포 사주설보다 높은 신뢰성을 담보하고 있는 주장으 로 평가할 수 있다.
한편, 유포된 길삼봉 이야기를 보면, 그의 외모나 거주지, 나이 등에 관한 정보는 전혀 없다. 그런데 진술자들이 이러한 정보들을 쏟아냈고, 나아가 그 내용이 최영경과 관련이 있었다는 점에서 길삼봉의 형상화는 서인 일파로 의 심되는 누군가의 회유로 이루어졌던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수많은 사람이 사건에 연루되었음에도 길삼봉에 관한 상세한 정보가 단지 6명의 해서 출신 인물들에게서만 나왔다는 사실은 그 가능성을 무게를 더한다.
이렇게 관련자의 진술 내용과 정황을 토대로 길삼봉의 실체를 검토 분석해 ・ 보면, 정여립이 길삼봉 이야기를 사주해 유포했을 가능성은 희박하며, 그 등 장과 형상화가 오히려 서인과 깊은 관련성을 갖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영문 초록
Gil Sam-bong's existence was one of the grounds for realizing the rebellion of Jeong Yeo-rip. However, he was not arrested in the end, and even the substance was ambiguous. At the time, the controversy over Gil Sam-bong was settled with a virtual person created by Jeong Yeo-rip for a reverse plot, but there are many questions and suspicions. Was Gil Sam-bong really a person created by Jeong Yeo-rip? Then, why did you create a person named Gil Sam-bong? The results of Gil Sam-bong's review and analysis, which started with these ques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atements about Gil Sam-bong were different or misaligned for each statement. The fact that the statements were different despite the fact that the staters said they had heard about Gil Sam-bong through frequent meetings with Jeong Yeo-rip and even met in person suggests that the statements cannot be trusted.
Second, given Jeong Yeo-rip's recognition, human network, and cause for treason, it was not necessary for Jeong Yeo-rip to create Gil Sam-bong, a ferocious bandit. Even if Gil Sam-bong was assumed to have been made out of resentment, there was no need to inform the testifiers about it. However, the fact that the statements about Gil Sam-bong vary from statement to statement, and that it is even misaligned, proves that it is unlikely that Jeong Yeo-rip made or put forward Gil Sam-bong.
Third, there is a claim that the Song Han-pil brothers, who resented Dong-in, spread the Gil Sam-bong story. It can be evaluated as a claim that guarantees higher reliability than Jeong Yeo-rip's theory of distribution in that there was no statement by Ui-yeon and Ji Ham-du that they spread the Gil Sam-bong story and the reason why the story was spread in the region because the Seo-in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information about his appearance, residence, or age if you look at the circulated Gil Sam-bong story. However, since the testifiers poured out this information, and the contents were related to Choi Young-kyung, it is believed that the image of Gil Sam-bong was conciliatory to someone suspected of being a member of the Western faction. In particular, the fact that detailed information about Gil Sam-bong came from only six people from the West adds weight to the possibility, even though many people were involved in the incident.
Reviewing and analyzing the substance of Gil Sam-bong based on the statements and circumstances of those involved, it is unlikely that Jeong Yeo-rip instigated and distributed the Gil Sam-bong story, and it can be seen that its appearance and shape are rather deeply related to Seo-in.
목차
Ⅰ. 머리말
Ⅱ. ‘정여립 사건’ 속 길삼봉에 관한 진술과 의문
Ⅲ. 진술 검토 : 길삼봉은 정여립이 만들어 낸 인물인가? Ⅳ. ‘최영경 옥사’와 길삼봉의 실체 분석
Ⅴ. 맺음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범죄사건통지서』 발굴과 양주 부평리 만세시위 재구성
- 조선총독부의 토지개량사업(1926~1936) 제도 운영과 한계 - ‘대행기관 체계’의 형성과 균열
- 한국근현대사연구 제113집 목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