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역맞춤형 사회문제 해결 리빙랩의 특성 분석: ‘I시’ 사례중심

이용수  6

영문명
Characteristic Analysis of Living Lab for the Solution to Community-Specified Social Problems: ‘I City’ Living Lab
발행기관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저자명
강슬기(Seul Gi Kang)
간행물 정보
『한국위기관리논집』Vol.21 No.2, 41~54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2.28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지자체를 중심으로 하는 리빙랩의 방법론을 적용을 통한 문제 해결의 필요성 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I시’를 대상으로 지능형 상수도관 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리빙랩의 방법론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리빙랩 유형을 분류, 참여주체 및 프로세스 구축을 통해 본 리빙랩은 목적에 따라 ‘제품 및 서비스 등 기술개발’ 유형이며, 연구기관과 공공기관의 주도가 복합적인 복합유형 으로 분류되었다. 참여주체는 공급자-매개사용자-최종사용자로 구분하였으며, 최종사용자가 ‘시민’이 아니라는 점에서 3Ps형태의 리빙랩으로 확인되었다. 리빙랩 프로세스는 3단계의 프로세스로 설정하였으 며, 리빙랩의 운영 프로세스와 유형 분류를 통해 3Ps의 소극적 형태의 리빙랩이지만 ‘공동창조(Co-crea- tion)’의 개념에서 넓은 의미에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리빙랩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리빙랩은 넒은 의미의 관점에서 바라봐 리빙랩 방법론의 적용성을 높이는 데 유의미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Recently, The need for problem-solving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Living Lab methodology, centered on local governments, is increasing to address social issues. This study aimed to apply the Living Lab methodology to establish a water pipeline management system for 'City I.' When classified by purpose, the Living Lab was identified as a 'technology development of products and services' type. It was further classified as a hybrid type led jointly by research institutions and public institutions.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suppliers, intermediary users, and end users, and it was identified as a 3Ps (Public-Private-People) type Living Lab. The Living Lab process was structured into three stages, and through the process, it was confirmed to be a Living Lab aimed at solving social problems from a broader perspective based on the concept of co-cre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rom a broader perspective, the Living Lab approach can be meaningfully utilized to enhance the applicability of the Living Lab methodology.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ving-lab Background and Method
Ⅲ. I-city Lving-lab Design
Ⅳ.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슬기(Seul Gi Kang). (2025).지역맞춤형 사회문제 해결 리빙랩의 특성 분석: ‘I시’ 사례중심. 한국위기관리논집, 21 (2), 41-54

MLA

강슬기(Seul Gi Kang). "지역맞춤형 사회문제 해결 리빙랩의 특성 분석: ‘I시’ 사례중심." 한국위기관리논집, 21.2(2025): 41-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