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학계 고구려 연구의 진척, 평의 및 전망 - 문헌에 근거한 계량학적 분석을 토대로

이용수  0

영문명
Chinese Academic Circle's Study on Goguryeo' Progress, Reviews and Prospects : On the application of Bibliometrics analysis
발행기관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저자명
楊璐(Lu Yang) 全瑩(Ying Quan)
간행물 정보
『중원문화연구』제34집, 147~180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구려의 특수한 역사적·문화적 가치로 인해, 중국 학계에서 고구려에 관한 연구는 오랜 기간 축적되고 발전해 왔다. 본 논문은 문헌 계량학적 방법을 기반으로 CNKI 데이터베이스를 연구 표본으로 삼아, 1952년 이후 중국학계의 고구려 연구 성과를 체계적으로 정리·분석하였다. 중국 학계에서 고구려 연구 초점, 발전 경향, 핵심 연구자, 주요 학술지의 발행 현황 및 인용 비율, 주요 연구 기관 등의 특징을 분석하고, 고구려 연구의 핵심 경로 및 지식 생산 전환점을 모색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연구 결과, 중국 학계의 고구려 연구는 주로 고구려 유적 및 문화유산, 지역 교류와 역사·문화적 연계, 사회변천과 정치구조, 신화·종교·예술이라는 네 가지 분야에 집중 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재 연구에는 몇 가지 한계점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실질적인 혁신 부족, 연구자 연령구조의 고령화 추세, 국제적 논쟁과 정치적 요인이 연구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등이 있다. 현재의 연구 동향과 관련 데이터를 고려할 때, 향후 중국학계의 고구려 연구는 다 학과적인 시각을 더욱 융합하고, 과학기술의 지원을 활용하며, 정책적 방향과 문화전략을 기반으로 지역사와 세계사의 접점을 구축하는 방향으로 발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영문 초록

Given the unique histor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Goguryeo, its research has been developing and accumulating over an extended period in Chinese academia. This study employs bibliometric methods, using the CNKI database as a sample, to systematically review and analyze Chinese academic works on Goguryeo since 1952. By statistically examining data on publication volume, publication years, thematic distribution, research institutions, and scholars, this paper identifies the main research areas, academic hotspots, and emerging trends in Goguryeo studies. The findings show that research on Goguryeo in China primarily focuses on four key areas: Goguryeo sites and cultural heritage, regional exchanges and historical-cultural connections, social evolution and political construction, and mythology, religion, and art. However, several limitations persist, including a lack of substantial innovation, an aging scholar demographic, and the negative impact of cross-national disputes and political factors on the research. Based on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and data trends, it can be projected that future studies on Goguryeo in China will increasingly integrate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leverage technological advancements, be guided by policy and cultural strategies, and foster the convergence of regional history with global historical frameworks.

목차

Ⅰ. 머리말
Ⅱ. 중국 학계의 고구려 연구의 논문 동향과 주요 저널 분석
Ⅲ. 중국 학계의 고구려 연구의 핵심 저자와 주요 연구 기관의 분석과 소개
Ⅳ. 중국 학계의 고구려 연구 초점과 중심 주제 분석
Ⅴ. 맺음말: 중국 학계의 고구려 연구의 향후 발전 방향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楊璐(Lu Yang),全瑩(Ying Quan). (2025).중국 학계 고구려 연구의 진척, 평의 및 전망 - 문헌에 근거한 계량학적 분석을 토대로. 중원문화연구, (), 147-180

MLA

楊璐(Lu Yang),全瑩(Ying Quan). "중국 학계 고구려 연구의 진척, 평의 및 전망 - 문헌에 근거한 계량학적 분석을 토대로." 중원문화연구, (2025): 147-1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