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반도 남부지역 출토 청동기 주조용 송풍관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uyeres for bronze casting in the south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 저자명
- 심재연(Jae-yoaun Sim)
- 간행물 정보
- 『중원문화연구』제34집, 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반도 일원에는 중국 중원과 초원지역에서 유입된 청동기와 더불어 자체 제작된 유물이 확인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자체 청동기 제작을 위한 채광유적, 제동유적, 주조유적이 명확하지 않아 출토 유물의 형식학적 분류를 통하여 자체 제작 가능성을 제시하거나 석제 거푸집을 통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최근,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청동기를 주조하기 위한 용해 공정에 사용된 마두형 송풍관이 출토되고 있어 자체 제작 가능성을 검토할 필요가 제기되고 있다. 발굴 조사에서 확인된 송풍관을 재검토한 결과, 한반도 남부지역에서 청동기의 제작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한반도 남부지역 송풍관은 중국 중원지역에서 사용하던 것과는 형식의 차이가 보인다. 반면에 남부지역 송풍관과 형식학적으로 공통점이 보이는 것은 내몽고 적봉지역과 요령지역, 두만강유역에서 확인된다. 이 송풍관은 남시베리아지역에서 확인되는 것으로 한반도 남부지역 청동기 제작 기술은 초원지역에 계보를 두고 있으며 남부지역의 청동기 생산은 소량생산 체계임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In the Korean Peninsula, along with bronze artifacts introduced from the Central Plains of China and the steppe regions, locally produced artifacts have also been identified. However, no bronze-making sites, alloying sites necessary for mixing metals, or smelting sites have been discovered. As a result, discussions on the possibility of local production have relied on typological classification of excavated artifacts or stone molds as evidence.
Recently, however, tuyeres, which appear to have been used in the smelting process for casting bronzes, have been excavated, particularly in the southern region. This increases the likelihood that bronze production took place locally.
Therefore, by re-examining tuyeres discovered in previous excavations, as well as artifacts found during surface surveys that were not previously identified in terms of their function,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whether bronze was indeed produced in the south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previous research, the tuyeres unearthed in southern Korea show typological differences from those used in the Central Plains of China. However, they share morphological similarities with those found in the Liaoxi region and the Tumen River basin, as well as, more distantly, with those discovered at the Novotroitskoye I site in Omsk, Russia, and the Strelkovskoye-2 site in the Angara River basin.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demonstrate that bronze-making technology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has its origins in the steppe region.
목차
Ⅰ. 머리말
Ⅱ. 문제 제기
Ⅲ. 한반도 남부지역 청동기 주조용 송풍관 검토
Ⅳ. 한반도 남부지역 구리 제련과 청동기 주조 가능성
Ⅴ. 맺음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4세기 후반~5세기 전반 백제의 지배구조와 왕위계승 갈등의 반복 배경
- 고구려 패망과정의 위기관리 연구 - 보장왕 시대의 나당의 간접전략과 고구려의 국력요소를 중심으로
- 『삼국지』 동이전에 기술된 ‘禮’의 의미와 양상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