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강원 지역 고구려 성곽의 존재 가능성 검토
이용수 0
- 영문명
- An Examination of the Possibility of Koguryo Fortresses in the Gangwon Province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 저자명
- 양시은(Si-eun Yang)
- 간행물 정보
- 『중원문화연구』제34집, 39~6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고구려의 강원 지역 진출과 그에 따른 고구려 성곽의 존재 가능성을 검토한 것이다. 고구려는 광개토왕 대인 4세기 말에 백제를 공격하여 58성 700촌을 획득하였으며, 400년에는 경주에 5만의 군대를 내려보내 위기에 처한 신라를 구원하였다. 그 과정에서 고구려는 북한강 유역까지 진출하였으며, 5세기 중반 장수왕 대에는 남한강 유역까지 그 세력을 확장하였다. 이는 춘천, 홍천, 원주 등지에 분포한 고구려 석실분과 생활유적, 그리고 충주고구려비 및 충주 일원의 석실분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현재 강원 지역에는 100여 개소의 성곽이 분포하고 있으나, 발굴조사를 통해 축성 주체가 밝혀진 사례는 매우 드물다. 그럼에도 『삼국사기』 지리지에는 고구려 군현이 존재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어 고구려 성곽이 존재할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들 성곽 중에서 한탄강 유역의 철원 성모루토성은 그 입지와 성벽 구조 등에서 고구려 성곽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
남한 지역 고구려 성곽의 분포 양상과 구조적 특징, 그리고 역사적 정황을 감안할 때 강원 지역에서 고구려 성곽이 다수 발견될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다. 그럼에도 향후 지속적인 관심과 체계적인 발굴조사를 통해 그 실체를 규명해 나가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tential existence of Koguryo fortresses in Gangwon Province, focusing on the kingdom’s southward expansion and military campaigns during the late fourth and fifth centuries. In the late fourth century, under the reign of King Gwanggaeto, Koguryo launched a major offensive against Baekje, reportedly seizing 58 fortresses and 700 villages. In 400 CE, Koguryo dispatched an army of 50,000 troops to Gyeongju to aid Silla against external threats. These military endeavors enabled Koguryo to extend its influence into the Bukhan River basin, and by the mid-fifth century, during King Jangsu’s reign, into the Namhan River basin. Archaeological evidence—including stone-chamber tombs and settlement remains in Chuncheon, Hongcheon, and Wonju, as well as the Chungju Koguryo Stele—supports this historical expansion.
Although over 100 fortress sites have been identified in Gangwon Province, only a few have been excavated to the extent that their builders can be confirmed. Nonetheless, historical sources such as the Samguk Sagi record the presence of Koguryo administrative units in the region, indicating the possible existence of fortresses. Among the candidate sites, the Seongmoru Earthen Fortress in Cheorwon, located along the Hantan River, exhibits structural and locational features consistent with known Koguryo fortresses.
Given the distribution patterns, construction techniques, and historical context of Koguryo fortifications in southern Korea, the likelihood of numerous fortresses being discovered in Gangwon Province appears limited. However, the possibility remains meaningful, and continued archaeological investigation is essential to ascertain their presence and better understand their historical significance.
목차
Ⅰ. 머리말
Ⅱ. 고구려의 강원 지역 진출
Ⅲ. 남한 지역 고구려 성곽의 현황과 특징
Ⅳ. 강원 지역 고구려 유적과 성곽의 존재 가능성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4세기 후반~5세기 전반 백제의 지배구조와 왕위계승 갈등의 반복 배경
- 고구려 패망과정의 위기관리 연구 - 보장왕 시대의 나당의 간접전략과 고구려의 국력요소를 중심으로
- 『삼국지』 동이전에 기술된 ‘禮’의 의미와 양상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