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Pet supplements, Growing Consumer Demand, and The Need for a Regulatory Guideline

이용수  0

영문명
발행기관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의생명과학법센터)
저자명
최보연(Bo-Yeon Choi) 조성호(Sung-Ho Jo) 장구(Goo Jang)
간행물 정보
『의생명과학과 법』제33권, 95~12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법학 > 민법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반려동물의 건강과 삶의 질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반려동물용 보조제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현재 이러한 제품들은 기존 사료관리법 하에서 사료 첨가제로 분류되어 관리되고 있으나, 사료 효율 향상을 주목적으로 하는 전통적 사료 첨가제와 달리 특정 건강 효과를 목표로 하는 제품들이 증가하고 있다. 미국, 유럽연합(EU), 한국 모두 기존 사료법 체계 내에서 이러한 제품들을 규제하고 있으나, 건강 기능성 표시에 대한 구체적 기준이 부족한 상황이다. 미국사료관리협회(AAFCO) 및 유럽사료산업연맹(FEDIAF)의 가이드라인이 존재하지만, 세부 기준의 부족으로 일관성 있는 적용에 한계가 있다. 이로 인해 반려동물 보호자들은 허위 및 과장 광고에 노출될 수 있으며, 반려동물은 보조제를 통해 기대되는 건강상의 이점을 얻지 못할 위험이 있다. 본 연구는 미국, 유럽연합, 한국의 반려동물 보조제 관련 규제 및 가이드라인등 각국의 현행 규제 체계를 분석하고, 인체용 건강기능식품 규제와의 비교를 통해 반려동물 보조제 규제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향후 반려동물 보조제도 인체의 건강기능식품처럼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기능성 성분 목록 구축과 전문가 검토 체계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As public interest in the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companion animals continues to grow, the market for pet supplements—analogous to human dietary supplements—is expanding rapidly. Unlike traditional feed additives, which primarily aim to improve feed efficiency or balance nutrition, pet supplements are distinguished by their clear purpose of inducing physiological health effects when administered. However, a clear legal definition or classification system for pet supplements is currently lacking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Union (EU). While the Association of American Feed Control Officials (AAFCO) and the European Pet Food Industry Federation (FEDIAF) provide labeling guidelines that include functional claims for pet food, these frameworks remain insufficiently detailed and are limited in their applicability. As a result, pet owners are exposed to misleading or exaggerated advertisements, and pets may not receive the intended health benefits from such supplements. This study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xisting regulatory frameworks and guidelines related to pet supplements in the United States, the European Union, and Korea. Additionally, it incorporates consumer perception surveys of pet owners and an analysis of the regulatory system for human dietary supplements, in order to identify key considerations for future regulatory development. The findings suggest that, similar to the approach used for human health supplements, pet supplements require the development of a scientifically validated list of functional ingredients, supported by systematic literature reviews and expert consensu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Pet Food Regulations in the U.S., European Union, and Korea
Ⅲ. Comparative Analysis with Human Dietary Supplement Regulations in the U.S., European Union, and Korea
Ⅳ. Discussion and Recommendations
Ⅴ.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보연(Bo-Yeon Choi),조성호(Sung-Ho Jo),장구(Goo Jang). (2025).Pet supplements, Growing Consumer Demand, and The Need for a Regulatory Guideline. 의생명과학과 법, (), 95-120

MLA

최보연(Bo-Yeon Choi),조성호(Sung-Ho Jo),장구(Goo Jang). "Pet supplements, Growing Consumer Demand, and The Need for a Regulatory Guideline." 의생명과학과 법, (2025): 95-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