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변혁적 리더십이 공직사회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The Impa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he Public Sector: Focusing on the Moderating Role of Self-Leadership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김정서(Jeong-Seo Kim) 문국경(Kuk-Kyoung Moon)
간행물 정보
『사회과학논집』제56권 제1호, 49~7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5.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앙부처 소속 공무원을 대상으로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를 검토하였다. 분석에는 한국행정연구원에서 수집한「공직사회 세대 가치관과 조직태도에 관한 인식조사 2022」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효과성의 각 구성요인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성원의 셀프리더십은 이러한 관계를 강화하는 조절요인으로 작용함이 확인되었다. 첫째, 본 연구는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에 있어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기존 리더십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간과되었던 이론적 공백을 보완하였다. 둘째, 조직 수준의 리더십요인과 개인 수준의 심리적 자원 간 상호작용을 분석함으로써, 리더십 연구의 다층적 구조에 대한 이해를확장하였다. 셋째, 자율성과 자기주도성을 중시하는 공직 구성원의 특성을 반영할 때, 본 연구는 세대 변화에대응하는 효과적인 리더십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ithin the public sector, and examines the moderating role of self-leadership in this relationship. Utilizing data from the 2022 Survey on Generational Values and Organizational Attitudes in the Public Sector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he findings show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oth component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urthermore, self-leadership was found to serve as a moderating factor that strengthens this relationship. First, by empirically identifying the moderating role of self-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study fills a theoretical gap in existing leadership research. Second, by analyzing the interaction between organizational-level leadership and individual-level psychological resources, the study contributes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leadership’s multilayered structure. Third, considering the increasing emphasis on autonomy and self-direction among public servants, the study provides a practical foundation for developing leadership strategies that are responsive to generational shifts in the public sector.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서(Jeong-Seo Kim),문국경(Kuk-Kyoung Moon). (2025).변혁적 리더십이 공직사회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집, 56 (1), 49-74

MLA

김정서(Jeong-Seo Kim),문국경(Kuk-Kyoung Moon). "변혁적 리더십이 공직사회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집, 56.1(2025): 49-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