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GPT-성인 화자 담화에서 드러나는 상호작용 전략과 의미 협상: 주양육자의 언어적 중재를 중심으로
이용수 3
- 영문명
- Linguistic mediation and meaning negotiation in child-GPT-adult discourse: A sociolinguistic analysis of primary caregivers' interactional strategies
- 발행기관
- 한국사회언어학회
- 저자명
- 정지은(Jieun Jung)
- 간행물 정보
- 『사회언어학』제33권 2호, 181~21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how adult speakers mediate triadic interactions involving young children and generative AI (GPT), focusing on discourse strategies and meaning negotiation. Four five-year-old children and their primary caregivers, acting as adult interlocutors, participated in structured GPT-based sessions. The adults actively interpreted, reformulated, and scaffoldedᅠthe children's utterances and the GPT's responses. Through inductive transcript analysis, nine caregiver strategies were identified and categorized into three functional domains: information adjustment (e.g., summarizing, rephrasing), meaning expansion (e.g., repetition, interpretation), and discourse organization (e.g., scaffolding, framing). These strategies shaped interactional flow and enabled meaningful participation by the children. Rather than functioning as a neutral tool, GPT acted as a quasi-participant whose outputs required adult mediation to be developmentally appropriate. The findings position adult speakers as co-constructors of meaning, aligning with Vygotsky's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Bruner's language acquisition support system, and Gumperz's contextualization theory. This study underscores the socially situated nature of child-AI interaction and argues that the developmental value of generative AI depends not on its autonomous functionality but on the interpretive work of responsive adults. The findings hold implications for designing AI-mediated educational discourse and enhancing language socialization in early childhood.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Bridging Cultures through Worship: Language Policy, Identity, and the Role of the Church in Times of Crisis
- 성차별 언어에 대한 인공지능의 인식과 대응
- Navigating Dual Linguistic Challenges: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daptation to English-Medium Instruction in Korean Higher Education
- 표현론적 관점에서 단어 형성의 한 특성: 남북한 경제 전문용어를 중심으로
- 북한 방언의 정서적 층위 연구: ‘남북한 문화 동질성 회복’을 중심으로
- 17세기 왕실 언간과 양반가 언간의 비교 연구
- ‘한국인’ 정체성의 구성과 재현: 유튜브 레오티비의 댓글을 중심으로
- 유아-GPT-성인 화자 담화에서 드러나는 상호작용 전략과 의미 협상: 주양육자의 언어적 중재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언어학분야 NEW
- Bridging Cultures through Worship: Language Policy, Identity, and the Role of the Church in Times of Crisis
- 성차별 언어에 대한 인공지능의 인식과 대응
- Navigating Dual Linguistic Challenges: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daptation to English-Medium Instruction in Korean Higher Educ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