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북한 방언의 정서적 층위 연구: ‘남북한 문화 동질성 회복’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Study on the emotional layers of North Korean dialects: Focusing on ‘recovering cultural homogeneit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발행기관
한국사회언어학회
저자명
곽은희(Eun Hee Kwak)
간행물 정보
『사회언어학』제33권 2호, 129~15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어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restore the homogeneity of the inter-Korean language by examining the emotional level of the North Korean dialect. It was intended to find a new way to overcome the sense of heterogeneity in the inter-Korean language through an emotional understanding of the use of North Korean dialect by North Korean defectors. It was predicted that the heterogeneity of mutual languages could be overcome by understanding the inner emotions rather than the external agreement of the inter-Korean language. To this end, the relationship between dialect and emotion was theoretically examined, and the emotions of North Korean defectors toward the North Korean dialect in society were examined. Empirically, 80 North Korean defectors were surveyed. The contents of the survey were classified into six categories of social relations in the use of North Korean dialects and subdivided into 18 items, and presented as objective data.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방언의 정서적 층위
3. 설문 내용의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곽은희(Eun Hee Kwak). (2025).북한 방언의 정서적 층위 연구: ‘남북한 문화 동질성 회복’을 중심으로. 사회언어학, 33 (2), 129-153

MLA

곽은희(Eun Hee Kwak). "북한 방언의 정서적 층위 연구: ‘남북한 문화 동질성 회복’을 중심으로." 사회언어학, 33.2(2025): 129-1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