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액체카드뮴음금용 세라믹 소재의 화학적 안정성 평가

이용수  0

영문명
Chemical Stability Evaluation of Ceramic Materials for Liquid Cadmium Cathode
발행기관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저자명
구광모 류홍열 김승현 김대영 황일순 심준보 이종현
간행물 정보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JNFCWT)』Vol.11 No.1, 23~29쪽, 전체 7쪽
주제분류
공학 > 공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3.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경제적이고 우수한 핵확산저항성을 갖는 파이로공정의 핵심 단위공정인 전해제련 공정에서 U와 TRU를 동시에 회수하기 위해 환원전극으로써 LCC가 사용된다. 한가지 원소만을 회수하는 금속음극과는 달리 LCC는 전기화학적으로 U와 TRU의 선택적 분리가 어려워 핵확산저항성을 높이는 기술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LCC를 담아놓는 LCC 도가니는 U나 TRU로만 전착되어야하기 때문에 도가니는 전기적으로 절연되어야 한다. LCC와의 안정성과 회수된 TRU 및 용융염과의 화학적 안전성은 물론 공정 중 전착될 수 있는 금속 Li과의 반응성도 고려되어야하므로 LCC 도가니의 소재 특성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Al2O3, MgO, Y2O3, BeO 네 가지 대체 세라믹 소재의 화학적 안정성을 500℃에서 모의 LCC로 열역학적 및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세라믹 기판 위의 LCC 접촉각은 화학적 반응성을 예측하기 위해 시간에 따라 측정하였다. Al2O3는 가장 낮은 화학적 안정성 갖고 BeO는 재료 내에 존재하는 기공은 접촉각감소에 영향을 주었다. MgO, Y2O3는 우수한 화학적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영문 초록

LCC (Liquid cadmium cathode) is used for electrowinning in pyroprocessing to recover uranium and transuranic elements simultaneously. It is one of the core technologies in pyroprocessing with higher proliferation resistance than a wet reprocessing because LCC-cell does not separate TRU from uranium. The crucible which holds the LCC is technically important because it should be nonconducting material to prevent deposition of metallic elements on the crucible outer surface. The chemical stability is also crucial factor to choose crucible material due to the strong reactivities of TRU and possible incorporation of Li metal during the operation. In this study, the chemical stabilities of four kinds of representative ceramic materials such as Al2O3, MgO, Yl2O3 and BeO were thermodynamically and experimentally evaluated at 500oC with simulated LCC. The contact angle of LCC on ceramic materials was measured as function of time to predict chemical reactivity. All2O3 showed poorest chemical stability and the pores in BeO contributed to a decreases in contact angle. MgO and Y2O3 have superior chemical stability among the material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구광모,류홍열,김승현,김대영,황일순,심준보,이종현. (2013).액체카드뮴음금용 세라믹 소재의 화학적 안정성 평가.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JNFCWT), 11 (1), 23-29

MLA

구광모,류홍열,김승현,김대영,황일순,심준보,이종현. "액체카드뮴음금용 세라믹 소재의 화학적 안정성 평가."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JNFCWT), 11.1(2013): 23-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