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creasing of Thermal Conductivity from Mixing of Additive on a Domestic Compacted Bentonite Buffer
- 발행기관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 저자명
- 이종표 최희주 최종원 이민수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JNFCWT)』Vol.11 No.1, 11~2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재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심층 처분 시스템에서 기본 완충재 물질로서 건조밀도 1.6 g/cm3의 경주산 칼슘 벤토나이트를 사용하고 있으나, 열전도도가 낮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준 완충재의 열전도율을 0.8 W/mK에서 1.0W/mK로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첨가제를 다양한 혼합 방법을 통해 배합하고 열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첨가제는CNT(Cabon Nano Tube), Graphite, Alumina, CuO 및 Fe2O3 등을 사용하였다. 혼합 방법의 경우, 핸드 믹서기를 통한 건식혼합, 습식 Milling 혼합, 건식 Ball Mill 혼합 등을 실시하였다. Ball Mill 혼합의 경우가 가장 균일하게 혼합되었기 때문에, 값의 편차가 가장 적었고 열전도도 증가율이 가장 좋았다.
지금까지 수행된 시험에서 소량의 고열전도 물질의 첨가로 경주산 칼슘 벤토나이트의 열전도도를 1.0 W/mK 수준으로 용이하게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열전도 향상 방법은, 첨가제 혼합이 벤토나이트의 기본 성질인 팽윤압과 수리전도도에 미치는 영향까지 제시된다면, 국내 고준위폐기물 처분장의 개념 설계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Geyoungju Ca-bentonite with dry density of 1.6 g/cm3 has been considered as a standard buffer material for the disposal of high level waste in KAERI disposal system design. But it had relatively lower thermal conductivity compared with other surrounding materials, that was one of key parameters to limit the increase of the disposal density in the disposal system. In this study, various additives were selected and mixed with the Ca-bentonite in different mixing methods in order to increase the thermal conductivity from 0.8 W/mK to 1.0 W/mK. As an additive, CNT (Cabon Nano Tube), graphite, alumina, CuO, and Fe2O3 were selected, which are chemically stable and have good thermal conductivity. As mixing methods, dry hand-mixer mixing, wet milling and dry ball mill mixing were applied for the mixing. Above all, the ball mill mixing was proved to be most effective since the produced mixture was most homogeneous and showed higher increase in the thermal conductivity. From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thermal conductivity for the Geyoungju Ca-bentonite could be improved by adding small amount of highly thermal conductive material to 1.0 W/mk. In conclusion, it was believed that the experimental results will be valuable in the disposal system design if the additive effects on the swelling and permeability on the compact bentonite are also approved in further studie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99Tc의 토양-쌀알 전이 감소를 위한 소석회와 유기질 비료의 토양첨가
- 액체카드뮴음금용 세라믹 소재의 화학적 안정성 평가
- 국산 압축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첨가제 혼합을 통한 열전도도 향상
- 중수로 사용후연료 건전성 검사장비 개발
- Demonstration of Zr Recovery from 50 g Scale Zircaloy-4 Cladding Hulls using a Chlorination Method
- 파이로그린공정 희토류폐기물 유리화 타당성 연구
- Chlorination Reaction Behavior of Zircaloy-4 Hulls: A Preliminary Study on the Effect of the Oxidation Process on the Reaction Rate
- 방사성폐기물 처분안전성 평가 자료 제공을 위한 핵종 수착 데이터베이스(KAERI-SDB)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공학일반분야 BEST
- 리튬이온배터리화재 대응방안의 실효성 분석을 위한 실규모 화재진압실험
- 융합교육 문헌 고찰을 통한 유아융합교육과정 제안
-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교과 문해력 함양과 복합양식 텍스트 독서 연구
공학 > 공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