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무용동작심리치료 기반 근감각적 공감과 자율신경 안정화에 대한 고찰
이용수 0
- 영문명
- A Review of Kinesthetic Empathy and Autonomic Regulation Based on Dance Movement Psychotherapy
- 발행기관
- 한국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주자경(Ja-Kyung CHOO)
- 간행물 정보
-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제9권 제1호, 25~4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무용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무용동작심리치료(Dance Movement Psychotherapy, DMP)에서 자율신경 안정화를 이끄는 핵심 기제를 고찰하고, 그 과정에서 근감각적 공감(Kinesthetic Empathy)이 어떤 개념으로 정의되며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DMP 과정에서 근감각적 공감이 자율신경 안정화에 기여하는 방식을 이론적으로 탐색하였다. 연구 대상은 관련 국내외 문헌이며, 문헌 연구 방법을 통해 주요 자료를 선정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율신경 안정화의 과정은 ① 근감각적 공감 형성, ② 신체 공명 및 정서적 동조, ③ 감각 자각 및 정서 조절의 세 단계로 이론적으로 구조화되었으며, 근감각적 공감은 감각-정서-신경계의 통합을 통해 자율신경 안정화에 기여하는 핵심 기제로 작용함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실증적 검증에는 한계가 있으나, DMP의 신경생리학적 기초를 보완하고 향후 실험 연구 및 임상 개입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key mechanisms of autonomic regulation in Dance Movement Psychotherapy (DMP), with a particular focus on kinesthetic empathy, through a theoretical literature review.Autonomic imbalance contributes to a wide range of psychological and physical disorders, and body-based therapeutic approaches such as DMP are increasingly recognized as effective interventions. Drawing on a literature-based methodology, this study analyzes domestic and international sources to explore how kinesthetic empathy operates as a central mechanism contributing to autonomic regulation from a neurophysiological perspective. The findings indicate that autonomic regulation in DMP can be conceptualized in three stages: (1) formation of kinesthetic empathy, (2) bodily resonance and emotional attunement, and (3) sensory awareness and emotional regulation. Kinesthetic empathy emerges as a key mechanism that integrates sensory, emotional, and nervous system processes, thereby facilitating autonomic stabilization. Although this study is limited by its non-empirical, literature-based approach. it strengthens the neuroscientific foundation of DMP and provides a conceptual basis for future experimental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 제9권 제1호 목차
- 집단무용/동작심리치료사의 자기개방이 치료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 - 교육복지대상아동의 자기표현과 관계성향상을 중심으로
- 음악적 동작 중심의 집단 음악치료가 경도 지적장애 청소년의 자기 표현력 및 사회적 기술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예비 연구
- 대형 극장의 무용 공연의 서비스 품질과 공연 품질이 관객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메커니즘에 대한 실증 연구 - 관객 만족도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무용동작치료에서 ‘움직임 의미화’의 이론적 구조 분석: 기호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 무용동작심리치료 기반 근감각적 공감과 자율신경 안정화에 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무용분야 BEST
- 복합 외상을 경험한 슈퍼바이지의 역량 강화를 위한 슈퍼비전 연구: 신체심리치료와 현대정신분석 이론을 중심으로
- 친족 성폭력 피해 청소년의 치유를 위한 무용동작치료 경험 사례 연구
- 무용 동작 학습 메타인지 교수:학습 전략 기초 연구
예술체육 > 무용분야 NEW
-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 제9권 제1호 목차
- 집단무용/동작심리치료사의 자기개방이 치료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 - 교육복지대상아동의 자기표현과 관계성향상을 중심으로
- 음악적 동작 중심의 집단 음악치료가 경도 지적장애 청소년의 자기 표현력 및 사회적 기술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예비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