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내 폐밀봉선원 분류체계 및 처분방식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Study of Classification and Disposal Method for Disused Sealed Radioactive Source in Korea
발행기관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저자명
김석훈 김주열 이승희
간행물 정보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JNFCWT)』Vol.14 No.3, 253~266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공학 > 공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9.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행 규제요건에 따르면 국내에서 발생된 모든 폐밀봉선원은 자체처분 대상, 극저준위 또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에 해당하며, 기본적으로 방사능 농도를 기준으로 한 처분방식 제한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류체계 이외에 IAEA 및 국외 폐밀봉선원 사용국의 방사성폐기물 분류체계, 폐밀봉선원 고유 특성 등에 대한 검토 및 분석결과를 토대로 반감기 및 A/D 값(각 선원의 방사능(A)을 작업자 및 일반 대중에 대한 잠재적 위험도를 의미하는 방사성핵종 고유의‘D 값’을 활용하여 정규화한 수치로 선원의 상대적 위험을 평가하는 기초적인 기준으로 사용)에 대한 기준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국내 폐밀봉선원 분류체계에 대한 방안을 제시한 후, 각 범주에 대한 처분방식을 도출하였다. 다양한 처분시점을 상정한 국내 폐밀봉선원 특성 분석 및 처분방안별 대상 수량·체적 평가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도출된 처분방안을 처분 예상시기와 무관하게 2015년 3월말 기준으로 임시저장 중인 모든 폐밀봉선원에 대해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단, 방사능량을 확인할 수 없거나 비방사능 또는 A/D 값을 산출할 수 없는 선원에 대해서는 본 연구결과를 적용할 수 없으므로 처분방안 이행을 위해서는 사전에 비방사능, 체적 등의 선원 고유 특성이 반드시 확인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In accordance with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radioactive waste in Korea, all the disused sealed radioactive sources (DSRSs) fall under the category of EW, VLLW or LILW, and should be managed in compliance with the restrictions for the disposal method. In this study, the management and disposal method are drawn in consideration of half-life of radionuclides contained in the source and A/D value (i.e. the activity A of the source dividing by the D value for the relevant radionuclide, which is used to provide an initial ranking of relative risk for sources) in addition to the domestic classification scheme and disposal method, based on the characteristic analysis and review results of the management practices in IAEA and foreign countries. For all the DSRSs that are being stored (as of March 2015) in the centralized temporary disposal facility for radioisotope wastes, applicability of the derivation result is confirmed through performing the characteristic analysis and case studies for assessing quantity and volume of DSRSs to be managed by each method. However, the methodology derived from this study is not applicable to the following sources; i) DSRSs without information on the radioactivity, ii) DSRSs that are not possible to calculate the specific activity and/or the source-specific A/D value. Accordingly, it is essential to identify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for each of DSRSs prior to implementation of this management and disposal metho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석훈,김주열,이승희. (2016).국내 폐밀봉선원 분류체계 및 처분방식 연구.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JNFCWT), 14 (3), 253-266

MLA

김석훈,김주열,이승희. "국내 폐밀봉선원 분류체계 및 처분방식 연구."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JNFCWT), 14.3(2016): 253-2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