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valuation of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Temporary Storage Facility for Decontamination Waste to Ensure Public Radiological Safety after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 발행기관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 저자명
- 김민준 고아라 김광표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JNFCWT)』Vol.14 No.3, 201~20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광역의 방사성 오염부지가 발생되었으며, 이에 대한 제염작업으로 인하여 다량의 제염폐기물이 발생하였다. 일본에서는 이를 보관하기 위하여 각 지역에 임시저장시설이 운영되고 있으며, 이들 시설들은 피난지시해제가이루어진 지역의 일반인에 대하여 방사선학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임시저장시설 인근에 거주하는 일반인의 방사선학적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임시저장시설 특성에 따른 거리별 공간 방사선량률 및 선량제한치를 만족하는 임시저장시설로부터의 이격거리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임시저장시설의 형태 및 크기, 복토 두께 등을 고려하였으며, MCNPX를 이용하여 방사선량률을 평가하였다. 복토에 의한 차폐효과는 두께가 10 cm일 때 68.9%, 30 cm일 때 96.9%, 50 cm 일 때 99.7%로 나타났다. 임시저장시설 형태에 따른 공간 방사선량률은 지상 보관형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반지하 보관형, 지하 보관형일 순으로 나타났다. 임시저장시설 크기에 따른 공간 방사선량률은 5 × 5 × 2 m 시설을 제외한 시설에 대하여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는 임시저장시설 내 적재된 제염폐기물에 의하여 자기차폐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최종적으로 크기가 50 × 50 × 2 m이고, 복토가 없는 임시저장시설의 경우, 지상 보관형의 평가된 이격거리는 14 m(최소농도), 33 m(최빈농도), 57 m(최대농도)이며, 반지하 보관형의 이격거리는 9 m(최소농도), 24 m(최빈농도), 45 m(최대농도), 지하보관형의 이격거리는 6 m(최소농도), 16 m(최빈농도), 31 m(최대농도)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a temporary storage facility satisfying the dose criteria.
The calculation of ambient dose rates took into account cover soil thickness, facility size, and facility type by using MCNPX code. Shielding effects of cover soil were 68.9%, 96.9% and 99.7% at 10 cm, 30 cm and 50 cm respectively. The on-ground type of storage facility had the highest ambient dose rate, followed by the semi-ground type and the underground type. The ambient dose rate did not vary with facility size (except 5 × 5 × 2 m size) due to the self-shielding of decontamination waste in temporary storage. The separation distances without cover soil for a 50 × 50 × 2 m size facility were evaluated as 14 m (minimum radioactivity concentration), 33 m (most probably radioactivity concentration), and 57 m (maximum radioactivity concentration) for on-ground storage type, 9 m, 24 m, and 45 m for semi-underground storage type, and 6 m, 16 m, and 31 m for underground storage typ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방사성 오염 토양의 효율적 복원을 위한 처리기술 평가 연구
- 국내 폐밀봉선원 분류체계 및 처분방식 연구
- 고리1호기 해체시 전계통 화학제염 운전개념
-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인간침입 평가 방법론에 관한 고찰
- U.S. Policy and Current Practices for Blending Low-Level Radioactive Waste for Disposal
-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일반인의 방사선학적 안전성 확보를 위한제염폐기물 임시저장시설 이격거리 평가
- AgX (Ag-함침 X 제올라이트)에 의한 고방사성해수폐액으로부터 요오드(I)의 흡착 제거
- 미국의 원전 해체관련 부지특성 및 최종상태 조사를 위한 방사성 오염 핵종결정 방법에 대한 분석
- 합성무기복합체 조성변화에 따른 모의 LiCl 염폐기물의 탈염소화/고형화
- 방사성동위원소 폐기물의 국내육상운반에 관한 방사선영향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공학일반분야 BEST
- 리튬이온배터리화재 대응방안의 실효성 분석을 위한 실규모 화재진압실험
-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교과 문해력 함양과 복합양식 텍스트 독서 연구
- 융합교육 문헌 고찰을 통한 유아융합교육과정 제안
공학 > 공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