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igration and Retardation Properties of Uranium through a Rock Fracture in a Reducing Environment
- 발행기관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 저자명
- 백민훈 박정균 조원진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JNFCWT)』Vol.5 No.2, 113~12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타당한 지하조건을 모사하기 위한 실험장치를 글로버박스(Glove-box) 내에 설치하고 천연지하수 및 자연균열을 가진 화강암 시추코어를 이용하여 핵종이동 실험을 수행하였다. 암반코어의 균열을 통한 지하수 유동을 해석하기 위하여 비수착성 음이온 핵종인 Br-로 지하수 유동실험을 수행하였다. 암반 균열을 통한 우라늄 이동 실험결과에서 유출된 우라늄의 파과곡선이 비수착성 핵종인 Br-와 유사한 거동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주어진 지하수 조건에서 우라늄이 주로 탄산염과 결합된 음이온 복합체로 이동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아울러 균열충전광물에 대한 우라늄의 회분식 수착실험을 수행한 결과, 균열충전광물에 대한 우라늄의 분배계수 는 약 2.7 mL/g로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우라늄 수착실험 결과는 빠른 유출을 보인 우라늄 이동실험 결과와 일치한다. 균열암반을 통한 우라늄 이동의 지연 특성을 보다 자세히 분석하기 위하여 회분식 수착실험으로 부터 구한 값을 이용해 지연인자 값(~16.2)를 구하고 이동실험 결과로 부터 구한 값(~ 14.3)과 비교한 결과, 서로 매우 유사한 지연인자 값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화강암 코어의 균열을 통한 우라늄의 이동 지연이 주로 균열충전광물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하겠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uranium migration experiments have been performed using a natural groundwater and a granite core with natural fractures in a glove-box constructed to simulate an appropriate subsurface environment. Groundwater flow experiments using the non-sorbing anionic tracer Br- were carried out to analyze the flow properties of groundwater through the fracture of the granite core. The result of the uranium migration experiment showed a breakthrough curve similar to that of the non-sorbing Br-. This result may imply that uranium migrates as anionic complexes through the rock fracture since uranium can form carbonate complexes at a given groundwater condition. The distribution coefficient of the uranium between the groundwater and the fracture filling material was obtained as low as 2.7 mL/g from a batch sorption experiment. This result agrees well with the result from the migration experiment, showing a faster elution of the uranium through the rock fracture. In order to analyze retardation properties of the uranium through the rock fracture, the retardation factor (~16.2) was obtained by using the obtained from the batch sorption experiment and it was compared with the (~14.3) obtained by using the result from the uranium migration experiment. The values obtained from the both experiments were very similar to each other. This reveals that the retardation of the uranium is mainly occurred by the fracture filling material when the uranium migrates through the fracture of a granite cor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환원환경에서 암반 균열을 통한 우라늄 이동 및 지연 특성
- (TBP-TOA)/n-dodecane-HNO3 추출 계에 의한 Tc, Np, U의 공추출 및 순차분리 평가
- (Zr-DEHPA)/n-dodecane-HNO3 금속함유 추출 계에 의한 악티나이드(Ⅲ) 및 RE의 공추출 및 상호 분리
- 나노 구조물을 이용한 전자선 차폐 가능성과 한계
-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열수거동 및 장기건전성 연구
- 콘크리트 폐기물의 자체처분을 위한 잔류방사능 조사 및 피폭선량평가
- 산 및 알칼리 매질에서 Pu 산화수에 대한 분광학적 특성 조사
- B형 삼중수소 운반용기 안정성 평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