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린이와 과학과 오락실의 첫만남: 1970~1974년 남산 어린이회관 과학오락실 경험자 인터뷰
이용수 0
- 영문명
- The First Encounter Between Children, Science, and Arcades: An Oral History Interview on the Science Arcade at Namsan Children’s Center (1970-1974)
- 발행기관
- 국제디지털게임연구학회 한국지회
- 저자명
- 오영욱(Young-Wook Oh)
- 간행물 정보
- 『디지털게임연구』제1권 제1호, 91~10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70년대 초 남산에 건립된 어린이회관은 어린이들에게 교육적 문화적 경험을 제공하는 중요한 공간이었다. 한국의 90년대 이전의 게임 역사는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며 특히 아케이드 게임의 경우 문헌자료외에 참고할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남산 어린이회관 9층의 과학오락실은 본격적인 전자오락이 탄생하기 전에 건립되었으면서 어린이들이 최초로 오락기와 만나는 공간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하지만 관련 사진이나 문헌들을 찾아보기 힘든 상황에서 당시 과학오락실을 직접 경험했던 이용자들을 인터뷰함으로 1970년대 어린이회관 과학오락실의 공간과 경험을 재구성하려고 했다. 경험자를 찾는 것 자체가 힘들었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2명의 인터뷰이를 섭외하는데 성공했으며, 두 명 다 공학전공의 인생을 보내왔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연구자 본인이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당시 구술 기록을 통해 당시 경험과 공간의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과학오락실의 경험이 진로 형성에 일정한 영향을 주었음을 언급하였다. 본 기록은 초기 전자오락과 어린이 문화의 접점을 탐색하는 기초자료로서의 의미를 지니며 추후 다양한 배경을 가진 경험자와 인터뷰가 진행되면 풍부한 재구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Children's Center, established on Namsan in the early 1970s, served as an important space offering educational and cultural experiences for children. Research on Korea's gaming history prior to the 1990s remains limited, especially regarding arcade games. Few studies exist beyond sparse documentary materials in this area. The Science Arcade Room located on the 9th floor of the Namsan Children's Center is presumed to have been one of the earliest spaces where children first encountered arcade machines, even before the widespread emergence of electronic games. However, due to the scarcity of available photographs or written records, this study sought to reconstruct the space and experiences of the 1970s Science Arcade Room by interviewing individuals who personally used the facility at the time. Locating such individuals proved challenging, but ultimately the researcher secured two interviewees, both of whom later pursued careers in engineering—a notable commonality.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interviews, and through oral history, reflections were made on the meaning of the space and experiences, with both interviewees acknowledging that their early exposure to the arcade may have influenced their career paths. This record serves as a foundational exploration into the intersection of early electronic games and children's cultural spaces, and future interviews with individuals from more diverse backgrounds are expected to enrich this reconstruction further.
목차
Ⅰ. 서론
Ⅱ. 기존 연구 및 사료들
Ⅲ. 인터뷰
Ⅳ. 논의와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