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게임 이용 중 멀티태스킹이 몰입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장르의 조절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Multitasking During Gameplay on Flow and Satisfaction: The Moderating Role of Game Genre
- 발행기관
- 국제디지털게임연구학회 한국지회
- 저자명
- 배윤신(Yunshin Bae) 조준혁(Jun Hyuk Cho) 유창석(Changsok Yoo)
- 간행물 정보
- 『디지털게임연구』제1권 제1호, 65~8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전통적으로 멀티태스킹은 몰입을 방해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멀티태스킹의 맥락과 형태에 따라 몰입에 대해 상이한 결론이 존재한다. 게다가 높은 수준의 몰입을 요구하는 게임에 대해서는 실증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멀티태스킹을 게임과 연관된 멀티태스킹과 연관되지않은 멀티태스킹으로 구분하고 멀티태스킹이 몰입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장르의 조절효과를 함께 살펴보았다. 587명에 대한 응답을 기반으로 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게임과 관련된 멀티태스킹은 몰입과 양의 관계를 가지고 있지만 게임과 관련되지 않은 멀티태스킹은 몰입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게임과 관련된 멀티태스킹과 관련되지 않은 멀티태스킹 모두 인지적 만족과 정서적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멀티태스킹이 게임플레이에 있어서 하나의 메타게임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게임의 장르의 경우 멀티태스킹과 몰입, 그리고 멀티태스킹과 만족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몰입과 만족간의 관계에서는 게임 장르간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Multitasking has generally been considered a factor that interferes with flow. However,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mixed finding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tasking and flow, depending on contextual and structural variations in multitasking behavior. Also, empirical research focusing on games that require a high level of flow remains limited. This study classifies multitasking into game-related and nongame-related types and examines their effects on flow and satisfaction. It also investigates the moderating role of game genr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stimated using data from 587 respondents. Game-related multitasking had a positive effect on flow, whereas nongame-related multitasking showed no significant association. Both types of multitasking positively influenced cognitive and affective satisfac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ultitasking may function as a metagaming component within gameplay. The moderating effect of game genre was not obser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tasking and flow or satisfaction, but genre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association between flow and satisfac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