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불량 용기 발생 시나리오에 대한 폐쇄후 장기 방사선적 안전성 평가

이용수  0

영문명
Post Closure Long Term Safety of the Initial Container Failure Scenario for a Potential HLW Repository
발행기관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저자명
황용수 서은진 이연명 강철형
간행물 정보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JNFCWT)』Vol.2 No.2, 105~112쪽, 전체 8쪽
주제분류
공학 > 공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6.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에서 적용하고 있는 다중 방벽의 한 부분인 처분 용기는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팽윤과 지압으로부터 폐기물을 역학적으로 안정하게 보호함과 동시에 일정 기간 방사성폐기물의 유출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처분 용기의 건전성은 엄격한 재질 선정과 품질 보증을 통해 확보된다. 그러나 용기 제작 과정이나 수송 중 예상치 못한 사건으로 인해 불량 용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경우 방사성 폐기물로 인해 생태계에 미치는 환경 영향을 연간 개인 선량으로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일부 불량 처분 용기가 발생하더라도 현 평가에 사용한 입력 데이터 범위에서는, 국내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 개념이 방사선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영문 초록

A waste container, one of the key components of a multi-barrier system in a potential high level radioactive waste (HLW) repository in Korea ensures the mechanical stability against the lithostatic pressure of a deep geologic medium and the swelling pressure of the bentonite buffer. Also, it delays potential release of radionuclide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efore it is corroded by intruding impurities. Even though the material of a waste container is carefully chosen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es are under quality assurance processes, there is a possibility of initial defects in a waste container during manufacturing. Also, during the deposition of a waste container in a repository, there is a chance of an incident affecting the integrity of a waste container. In this study, the appropriate Features, Events, and Processes(FEP's) to describe these incidents and the associated scenario on radionuclide release from a container to the biosphere are developed. Then the total system performance assessment on the Initial waste Container Failure (ICF) scenario was carried out by the MASCOT-K, one of the 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 tools KAERI has developed. Results show that for the data set used in this paper, the annual individual dose for the ICF scenario meets the Korean regulation on the post closure radiological safety of a repositor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용수,서은진 ,이연명,강철형. (2004).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불량 용기 발생 시나리오에 대한 폐쇄후 장기 방사선적 안전성 평가.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JNFCWT), 2 (2), 105-112

MLA

황용수,서은진 ,이연명,강철형.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불량 용기 발생 시나리오에 대한 폐쇄후 장기 방사선적 안전성 평가."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JNFCWT), 2.2(2004): 105-1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