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mpowering Personalized Learning in Kindergartens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 발행기관
- YIXIN 출판사
- 저자명
- Zhou Yunna Ma Zhaorong Chen Meng Cai Xuemei Li Hongshan
- 간행물 정보
- 『Education Reform and Teaching Research』Vol.2 No.3, 16~21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In the era of rapid digital technology iter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has deeply integrated into the education sector, reshaping traditional teaching models. Supported by core technologies such as machine learning and big data analysis, AI can accurately capture learne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cognitive patterns, and developmental needs, effectively supporting personalized educational practices. Early childhood education marks the beginning of basic education, tasked with stimulating children’s potential and shaping their learning habits.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the value of AI technology in empowering personalized learning in kindergartens and its primary functions, exploring how to integrate AI with personalized learning in kindergartens based on children’s actual needs, gradually building modern early childhood education classrooms.
영문 초록
在数字技术高速迭代的时代背景下,人工智能已深度融入教育领域,正重塑传统教学模式。在机器学习和大数据分析核心技术支持下,人工智能可以准确地捕获学习者行为特征,认知规律和发展需求,有力地支持教育个性化实践。幼儿园教育是基础教育的开端,担负着激发幼儿潜能,塑造幼儿学习习惯等任务。因此,本文分析人工智能技术赋能幼儿园个性化学习价值以及其应用主要功能,基于幼儿实际探索如何将人工智能与幼儿园个性化学习融合,逐步打造现代化幼儿教育课堂。
목차
Ⅰ. 引言
Ⅱ. 人工智能技术赋能幼儿园个性化学习价值意蕴
Ⅲ. 人工智能技术赋能幼儿园个性化学习核心功能
Ⅳ. 人工智能技术赋能幼儿园个性化学习有效路径
Ⅴ. 研究成果与未来方向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婚育观教育融入“性别社会学”课程教学的探索与实践
- 红色调查资源融入应用统计学专业课程的路径研究
- 乡村振兴背景下大学生返乡就业创业的实践路径
- 高专幼师生儿童孤独症心理健康素养现状调查
- 人工智能技术赋能幼儿园个性化学习
- 供需对接视角下地方应用型本科院校旅游管理专业建设实践与改革探索
- 基于元宇宙的高校党史学习教育模式构建与应用探索
- 中华优秀传统文化融入小学语文阅读教学的呈现方式与实践路径——以部编版三年级下册三单元为例
- 工程教育专业认证背景下“食品微生物学”课程思政教学实践与探索
- Education Reform and Teaching Research Vol.2 No.3 Contents
- 解构与重建:生成式AI 介入下的大学生媒介素养教育动态机制构建——以网络与新媒体专业为例
- 数字时代铸牢中华民族共同体意识隐形教育研究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EduTech-Utilized Practicum in English Pedagogy Class
- Language Factors in L2 Reading: Testing the Linguistic Threshold Hypothesis
- Reading strategy use by Korean high school students on CSAT English test item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