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활인심방 도인법 기반 무용교육의 효과 분석

이용수  102

영문명
Analysis of the Effects of Dance Education Based on the Hwalin Simbang Do-in Method
발행기관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저자명
정유진(Yu Jin Jung)
간행물 정보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제29권 제2호, 129~145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활인심방 무용 교육프로그램이 정신건강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 연구는 서울과 경기 지역에 위치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 대학생 3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지를 통한 자료는 신뢰도 분석과 대응표본을 이용하여 분석되었으며, 모든 인터뷰는 녹취록으로 기록되어 내용분석을 위해 범주화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다각적 검증법(triangulation)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활인심방 도인법을 활용한 무용 교육프로그램이 정신건강의 여러 하위요인에서 긍정적인 개선을 보였고, 신체화, 강박증, 대인 예민성, 우울, 불안 등의 증상이 사후에 감소한 결과를 보였다. 이는 활인심방 도인법을 기반으로 한 무용교육이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하였으며 특히, 불안과 우울에서 큰 개선이 있었다는 점은 활인심방 무용 교육프로그램의 명상적 요소와 신체적 움직임이 스트레스 해소, 정서 조절 및 자아존중감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활인심방 무용 교육프로그램은 자아존중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이 사후에 현저히 증가했으며, 부정적인 자아존중감도 유의미하게 변화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인터뷰 결과, 활인심방 무용 교육프로그램은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정신건강과 자아존중감, 자기개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신체활동을 넘어 정서적 및 사회적 차원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속적인 참여를 통해 내면적 성숙과 외부 관계 개선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효과가 다양하고 복합적임을 알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무용교육이 무용전공 대학생들에게 자신감을 부여하고, 몸과 마음의 균형을 이루는 데 도움을 주었음을 시사하며 무용을 통해 신체적, 정서적 건강을 동시에 증진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이 프로그램의 효과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the atrial dance education program on mental health and self-esteem. This study was conducted on 39 dance major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the data through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using reliability analysis and response samples, and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s transcripts and categorized for content analysis. In addition, triangulation was used to secu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ance education program using the atrial abdomination method showed positive improvement in various sub-factors of mental health, and symptoms such as physicalization, obsessive compulsion, interpersonal sensitivity, depression, and anxiety were reduced after the fact. This suggested that dance education based on the atrial abdomination method had a positive effect on mental health, and in particular, the fact that there was a great improvement in anxiety and depression showed that the meditative elements and physical movements of the atrial abdomination dance education program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lieving stress, controlling emotions, and promoting self-esteem. In addition, the Hwalin Simbang dance education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positive self-esteem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death, and negative self-esteem also changed significantly.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it was found that the Hwalin Simbang dance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mental health, self-esteem, and self-development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and it was emphasized that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emotional and social level beyond physical activity.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s were diverse and complex in that they could simultaneously experience inner maturity and improve external relations through continuous participation. Overall, it suggests that dance education has helped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to balance the body and mind, and the effect of this program is very important in that it can simultaneously promote physical and emotional health through da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유진(Yu Jin Jung). (2025).활인심방 도인법 기반 무용교육의 효과 분석.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29 (2), 129-145

MLA

정유진(Yu Jin Jung). "활인심방 도인법 기반 무용교육의 효과 분석."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29.2(2025): 129-1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