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ing a Forest-Based Program for School Autonomy Time
- 발행기관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 저자명
- 류청산(Cheong San Ryu)
- 간행물 정보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제29권 제2호, 25~4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숲 체험 기반의 학교 자율시간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해당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더불어 사는’ 인간상과 ‘심미적 감성’ 역량 함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대 사회에서 디지털 기기의 사용 증가와 도시화로 인해 학생들의 자연 체험 기회가 감소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정서적 불안과 환경 감수성 저하가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초등학교 자율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숲에서 직접 체험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숲 체험을 기반으로 학생들의 정서적 안정과 심미적 감성을 함양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교과와의 연계를 통해 홀리스틱 교육적 접근을 실현하고자 하였다. 학생들은 숲의 생태적 가치와 공익적 역할을 탐구하고, 창의적 문제 해결과 협력 활동을 수행하며, 자연과의 교감을 통해 심미적 감수성을 기를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융합적 학습 경험을 제공하여 과학, 사회, 국어, 실과, 미술 등의 교과와 연계한 탐구 활동을 수행하며, 문제 해결 역량과 더불어 지속 가능한 삶의 태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를 위해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6학년 2개 반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평가 도구로 ‘더불어 사는’ 인간상과 ‘심미적 감성’ 역량을 중심으로 한 설문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숲 체험을 소재로 하는 학교 자율시간의 활동 프로그램은 향후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활용 가능성이 높으며, 지속 가능한 환경 교육과 전인적 성장 지원을 위한 중요한 교육적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바탕으로, 보다 다양한 숲과 자연 체험활동이 교육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forest-based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uring autonomy time, and to examine its effects on cultivating a cooperative spirit and aesthetic sensitivity. In modern society, the increasing use of digital devices and urbanization have reduced students' opportunities for direct interaction with nature, leading to concerns about emotional instability and decreased environmental sensitivity. To address this issue, the study designed a program enabling students to engage in direct learning experiences in a forest setting during autonomy time. The program is structured to help students explore the ecological and public values of forests, engage in creative problem-solving and cooperative activities, and cultivate emotional stability and aesthetic sensitivity. A pilot study was conducted with two sixth-grade classes in Gyeonggi Province using a survey focused on ‘coexisting with others’ and ‘aesthetic sensitivity’ as evaluation criteria. The findings suggest that this forest experience-based school autonomy activity program holds high potential for integration into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can serve as a valuable practical instructional model for promoting sustainable environmental education and holistic student development.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recommended that a wider range of nature experience activities be actively incorporated into the educational fiel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숲 체험을 활용한 초등학교 자율시간의 활동 프로그램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