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피해자전담경찰관의 업무 적응 및 정신건강 연구 - 근거이론을 활용한 조사 및 분석

이용수  11

영문명
Research on the Work Adaptation and Mental Health of Victim Support Police Officers : Investigation and Analysis Using Grounded Theory
발행기관
한국피해자학회
저자명
박명호(Myoungho Park) 윤상연(Sangyeon Yoon)
간행물 정보
『피해자학연구』제33권 제1호, 51~7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경찰청에서 2015년을 피해자 보호 원년으로 선포한 이후 10년이 지난 현시점에서 범죄피해자 보호 및 지원 업무를 담당하는 경찰관의 역할은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향후 피해자 보호 기능 및 피해자전담경찰관의 역할 강화를 위해서는 담당 업무를 수행하는 피해자전담경찰관의 심리적 경험과 정신건강의 문제를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찾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피해자심리전문요원으로 채용된 피해자전담경찰관의 업무와 정신건강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사회과학분야의 대표적인 질적 연구방법으로 평가받는 근거이론(Grounded Theory)에 기반하여 피해자전담경찰관 10명을 면담한 후 그 자료를 분석하였다. 면담자료 분석 결과, 심리학을 전공한 피해자전담경찰관들은 경찰에 입직한 이후 경찰 조직의 이질적인 문화로 인해 적응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심리적인 갈등을 지속적으로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적응적인 피해자전담경찰관의 경우 피해자 업무를 개선하고 개인 역량을 강화하면서 경찰 조직에서의 적응과 직무만족도를 향상시켜 온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피해자전담경찰관의 직무만족도 제고 및 피해자 업무 체계의 확립을 위한 피해자 보호·지원 업무의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피해자전담경찰관의 개인적, 업무적 기능 향상은 물론, 향후 피해자전담경찰관의 채용·관리, 관련 제도 개선 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Since the National Police Agency declared 2015 as the inaugural year for victim protection, the role of police officers responsible for the protection and support of crime victims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over the past decade. To enhance the function of victim protection and the role of victim support officer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iagnose and find solutions for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and mental health issues of the officers carrying out these responsibilitie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work and mental health status of victim support police officers, who are recruited as specialists in victim psychology. It involves interviewing 10 victim support police officers using Grounded Theory,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highly regarded in the social sciences, and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 data revealed that victim support police officers with a background in psychology struggled to adapt due to the heterogeneous culture of the police organization after joining the force and continuously experienced psychological conflicts. However, it was found that adaptive victim support police officers improved their job satisfaction and adaptation to the police organization by enhancing their personal capabilities and improving victim-related work.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improvements to victim protection and support work to enhance job satisfaction for victim support police officers and establish a systematic approach to victim-related task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the personal and professional functions of victim support police officers, as well as to future recruitment, management, and related institutional improvements for these offic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명호(Myoungho Park),윤상연(Sangyeon Yoon). (2025).피해자전담경찰관의 업무 적응 및 정신건강 연구 - 근거이론을 활용한 조사 및 분석. 피해자학연구, 33 (1), 51-77

MLA

박명호(Myoungho Park),윤상연(Sangyeon Yoon). "피해자전담경찰관의 업무 적응 및 정신건강 연구 - 근거이론을 활용한 조사 및 분석." 피해자학연구, 33.1(2025): 51-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