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정규직 근로자와 조직 몰입 관계 연구: 조직 근속 기간, 성과급 제도,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직접 고용의 조절효과 분석
이용수 18
- 영문명
- Secur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Contingent Labor: The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Tenure, Pay-For-Performance Practices, Socioeconomic Status Mobility, and Direct Hire
- 발행기관
- 한국인사조직학회
- 저자명
- 유혜경(Hye-Kyung Yu) 김영상(Youngsang Kim)
- 간행물 정보
- 『인사조직연구』제33권 제2호, 91~11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비정규직 근로자는 전략적으로 가치 있는 인적자본의 한 축을 구성하지만, 조직은 이들의 잠재력을 충분히 활용하는 데 종종 어려움을 겪는다. 본 연구는 사회적 교환 이론, 경력 개발 이론, 기대 이론에 기반하여 고용 형태가 조직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고, 이 관계를 조절할 수 있는 네 가지 맥락적 조건(조직 근속기간, 직접고용 여부, 성과급 제도의 존재 여부, 지각된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성)을 제시한다.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 2005~2023년)의 6,202명의 종단자료를 분석한 결과, 비정규직 근로자는 정규직 근로자에 비해 조직몰입 수준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부정적 관계는 특히 조직 근속기간이 짧을수록, 성과급 제도가 없을 경우, 그리고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성에 대한 인식이 낮을수록 더욱 크게 나타났다. 반면, 직접고용과 간접고용 간의 조직몰입 수준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직접 및 간접 고용형태 자체가 고용형태-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결정짓는 유의미한 요인은 아님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비정규직 근로자의 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복합적 기제를 밝혀내는 데 기여하며, 비정규직 인력의 관리에서 맥락적 설계의 중요성을 부각시킨다. 본 연구는 인적자원관리(HRM) 및 노사관계 분야의 이론 발전에 기여함과 동시에, 비정규직 근로자의 몰입과 이탈 방지를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Contingent workers represent a strategically valuable segment of human capital, yet organizations often struggle to fully harness their potential. Drawing on social exchange theory, career development theory, and expectancy theory, this study investigates how employment status affect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dentifies four contextual boundary conditions that may moderate this relationship: organizational tenure, direct hiring, pay-for-performance (PFP) practices, and perceived socioeconomic status (SES) mobility. Using longitudinal data from 6,202 respondents in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2005-2023), we find that contingent workers exhibit significantly lower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permanent employees. This gap is notably wider among those with shorter tenure, in the absence of PFP practices, and when perceived SES mobility is low. Notably, the distinction between direct and indirect hiring does not produc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mitment, suggesting that employment arrangements alone may not shape attitudinal outcomes. These findings adv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nuanced mechanisms that condition the attitudes of nonstandard workers and highlight the importance of contextual design in managing contingent workers. The study contributes to human resource management (HRM) and labor relations literature and offers practical insights for improving engagement and retention strategies for contingent worker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y and hypothesis
Ⅲ. Methods
Ⅳ. Results
Ⅴ. Discus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