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방자치법상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국가 관여와 그 헌법적 한계

이용수  3

영문명
State Involvement in local governments under the Local Autonomy Act and the Constitutional limitations
발행기관
유럽헌법학회
저자명
손상식(Sangsik Son)
간행물 정보
『유럽헌법연구』제47호, 243~277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국회는 기본적으로 자치단체 스스로가 위법한 업무처리 등을 자체적으로 통제할 수 있도록 제도를 설정함으로써 국가 등 외부기관에 의한 감독이나 감사와 같은 통제의 여지를 최후의 보루로 남겨 두는 것이 지방자치의 정신에 합치할 것으로 보인다. 자체적인 통제만으로 해소가 될 수 없거나 불충분한 경우에 국가 등 외부기관에 의한 통제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통제체계 내에서도, 특히 기초자치단체에 대한 국가의 직접적인 통제권 행사는 당해 자치단체 내의 자체적인 통제수단이나 광역자치단체를 통한 간접적인 통제수단으로 확보할 수 없는 경우, 또는 긴급한 필요가 있는 경우 등에 한하여 예외적으로 허용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현행 지방자치법에 따르면, 단체장의 명령이나 처분, 지방의회의 의결이 법령에 위반되는 경우나 현저히 부당하여 공익을 해하는 경우라고 인정되면, 국가 등 감독관청은 단체장에게 시정 요구 및 직접 시정, 재의요구 지시, 제소 요구 및 직접 제소 등을 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대해 자치단체는 일정한 경우에 한하여 대법원에 제소를 할 수 있을 뿐이다. 하지만 자치단체의 사무처리와 관련된 명령이나 처분, 의결의 위법성 등에 관한 판단을 감독관청의 판단에 우선권을 부여하는 것은 현행 헌법상 법원의 권한 내지 지방자치의 보장 취지에 합치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e National Assembly seems to be consistent with the spirit of local autonomy by setting up a system that allows local governments to control illegal business processing on their own, leaving room for control such as supervision and audit by external agencies such as the state as the last bastion. In the case of compensating for areas that cannot be resolved or insufficient by self-control alone, a control system by external agencies such as the state should be established. Even within this control system, the exercise of direct control by the state, especially over local governments, should be allowed exceptionally only if it cannot be secured by its own control means within the relevant local government and indirect control means through metropolitan governments. According to the current Local Autonomy Act, if the order, disposition, or resolution of the head of the organization violates the law or is significantly unfair and harms the public interest, the state and other supervisory authorities can request and correct, direct request for reconsideration, request and direct complaint to the head of the organization. In response, local governments can only file a complaint with the Supreme Court in certain cases. However, giving priority to the supervisory authority's judgment on the illegality of orders, dispositions, and resolutions related to local governments' handling of affairs does not seem to be 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guaranteeing court authority or local autonomy under the current constitution.

목차

Ⅰ. 서 론
Ⅱ. 지방자치에 대한 헌법적 보장의 의미
Ⅲ. 위법ㆍ부당한 명령이나 처분의 시정
Ⅳ. 지방자치단체의 자치사무에 대한 감사
Ⅴ. 감독관청의 재의 요구 및 제소
Ⅵ.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상식(Sangsik Son). (2025).지방자치법상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국가 관여와 그 헌법적 한계. 유럽헌법연구, (), 243-277

MLA

손상식(Sangsik Son). "지방자치법상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국가 관여와 그 헌법적 한계." 유럽헌법연구, (2025): 243-2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