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Economic Ripple Effects of the Uiryeonggil Trail in Bukhansan National Park
- 발행기관
- 국립공원연구원
- 저자명
- 최인묵(In-Mook Choi) 권헌교(Heon-Gyo Kwon)
- 간행물 정보
- 『국립공원연구지』제16권 제1호, 95~103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북한산국립공원 우이령길 탐방로가 지역사회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평가하여 효과적인 설득메시지를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2023년 7월부터 8월까지 우이령길 탐방객 398명을 대상으로 여행비용을 조사한 후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지역사회에 미치는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이령길 탐방객 1인이 하루 동안 지출한 평균 여행비용은 18,276원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서울시에서 12,401원, 양주시 2,761원, 기타 지역 3,114원을 지출하였다. 2022년 기준 서울시 지역의 연간 생산파급효과는 약 18억 7천만원, 부가가치파급효과는 약 6억 6천만 원, 고용유발효과는 약 25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양주시 지역의 연간 생산파급효과는 약 4억 2천만원, 부가가치파급효과는 약 1억 2천만 원, 고용파급효과는 4명으로 나타났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상시 개방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뒷받침하기에는 생산, 부가가치, 고용파급효과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원관리청에서는 양적 성장 위주의 공급 확대 정책을 지양하고개발을 통한 경제적 이익보다 국립공원이 제공하는 지속적인 생태계서비스가 더 크다는 것을 적극 홍보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가 효과적인 설득메시지가 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present an effective persuasion message by evaluating the economic ripple effect of the Uiryeonggil Trail in Bukhansan National Park. From July to August 2023, 398 visitors to Uiryeonggil were surveyed for travel costs, and the eco - nomic ripple effect on the local community was analyzed using a regional input-output tabl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verage travel cost spent by a visitor to Uiryeonggil during the day was 18,276 won. By region, 12,401 won were spent in Seoul, 2,761 won in Yangju, and 3,114 won in other regions. As of 2022, the annual production ripple effect in the Seoul area was about 1.87 billion won, the value-added ripple effect was about 660 million won, and the employment ripple effect was about 25 people. The annual production ripple effect in Yangju-si was about 420 million won, the value-added ripple effect was about 120 million won, and the employment ripple effect was four people. It was found that production, value-added, and employment ripple effects were not sig- nificant, supporting the argument that regular opening is necessary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Therefore, th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should avoid a policy of expanding supply focused on quantitative growth and actively promote the fact that the continuous ecosystem services provided by National Parks are greater than the economic benefits of development.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effective persuasive messages.
목차
서론
이론적 배경
분석방법
분석결과
결론 및 고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왕산국립공원 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다양성 및 서식 현황 연구
- 한반도 미기록 외래식물: 애기황마
- 국내 강과 지류에서 관찰된 미기록종 돌말류의 다양성 연구
- New Record of Sphaerites glabratus (Fabricius, 1792) (Coleoptera, Sphaeritidae) from Korea
- 전북 완주군 추동제의 침입외래종 미국가재 정밀 조사 및 국내 가재와 형태적 특징 비교
- 북한산국립공원 우이령길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연구
- 한려해상국립공원 조간대 표층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
- 홍도(경남, 통영)의 식물상과 괭이갈매기 번식지와의 상관성 연구
- 덕산도립공원 탐방환경, 무엇을 개선해야 할까?
- 경주국립공원의 곤충 다양성에 관한 연구
- 호소 환경에서 새롭게 관찰된 미세조류에 대한 분류학적 고찰
- 내장산국립공원의 어류군집 특성 및 하천건강성 평가
- 국립공원연구지 제16권 제1호 목차
- 소백산국립공원 지형·지질유산 가치평가
- 지리산국립공원 서부지역 구상나무 개체군의 생육동태(2011~2018년)
- 한려해상국립공원 조간대 지역의 절지동물(단각류) 군집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물학분야 BEST
- 지리산국립공원 산림 탄소 흡수량 및 식생가치 기반 보호관리 우선순위 평가 연구
- 글로벌 보전 목표 성취를 위한 OECM 현황 및 특성 연구
- 국가 보전목표 성취를 위한 지자체 역할 고찰: 조례에 기반한 잠재 자연공존지역(OECM) 검토를 중심으로
자연과학 > 생물학분야 NEW
- GFPT1 regulates AMPK activity through enhanced O-GlcNAcylation
- Purification, crystallization, and X-ray crystallographic analysis of CALA-like lipase 7 from Cordyceps militaris
- 한반도 미기록 외래식물: 애기황마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