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in the Intertidal of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South Korea
- 발행기관
- 국립공원연구원
- 저자명
- 조형찬(Hyeong Chan Cho) 윤성명(Seong Myeong Yoon) 강주원(Joo Won Kang) 최인영(In Young Choi) 이병관(Byoung Kwan Lee)
- 간행물 정보
- 『국립공원연구지』제16권 제1호, 36~45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려해상국립공원 내 퇴적물을 대상으로 입도, 총유기탄소(TOC), 중금속(Fe, Li, Mn, Cr, Ni, Pb, Cu, Zn, As, Cd, Hg)을 분석하여퇴적물의 특성과 중금속 오염도를 평가하였다. 퇴적물은 자갈과 모래가 우세하게 분포하였으나, 일부 지역에서는 펄 함량이 높아 지역적 차이를 보였다. TOC 함량은 세립성분이 많은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이는 입도와 유기물 간의 밀접한 연관성을 시사한다. 중금속 분포는입도, 유기물, 산화·환원 조건 등 환경적 요인에 의해 조절되었으며, Cr와 Ni는 자연적 기원의 영향을 주로 받았던 반면, Hg, Cd, Cu 등은국지적 오염원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오염도 평가 결과, 연구지역은 정점별로 오염과 비오염 상태가 혼재된 양상을 보였으며, 일부지역에서는 저서생물에 대한 극심한 위해성이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s and the degree of heavy metal pollution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sediment samples were analyzed for grain size, total organic carbon (TOC), and heavy metals (Fe, Li, Mn, Cr, Ni, Pb, Cu, Zn, As, Cd, Hg). The sediments were primarily composed of gravel and sand, but certain areas exhibited a high proportion of silt and clay. The TOC content was relatively higher in areas with finer sediment fractions, indicating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grain size and or- ganic matter. The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was influenced by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grain size, organic matter, and redox conditions. Cr and Ni were primarily associated with natural origins, while Hg, Cd, and Cu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localized pol- lution sources. The pollution assessment revealed the presence of both polluted and unpolluted conditions within the study area. In specific areas, a high risk level for benthic organisms was identified, indicating severe ecological implications.
목차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고찰
사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왕산국립공원 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다양성 및 서식 현황 연구
- 한반도 미기록 외래식물: 애기황마
- 국내 강과 지류에서 관찰된 미기록종 돌말류의 다양성 연구
- New Record of Sphaerites glabratus (Fabricius, 1792) (Coleoptera, Sphaeritidae) from Korea
- 전북 완주군 추동제의 침입외래종 미국가재 정밀 조사 및 국내 가재와 형태적 특징 비교
- 북한산국립공원 우이령길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연구
- 한려해상국립공원 조간대 표층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
- 홍도(경남, 통영)의 식물상과 괭이갈매기 번식지와의 상관성 연구
- 덕산도립공원 탐방환경, 무엇을 개선해야 할까?
- 경주국립공원의 곤충 다양성에 관한 연구
- 호소 환경에서 새롭게 관찰된 미세조류에 대한 분류학적 고찰
- 내장산국립공원의 어류군집 특성 및 하천건강성 평가
- 국립공원연구지 제16권 제1호 목차
- 소백산국립공원 지형·지질유산 가치평가
- 지리산국립공원 서부지역 구상나무 개체군의 생육동태(2011~2018년)
- 한려해상국립공원 조간대 지역의 절지동물(단각류) 군집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물학분야 BEST
- 지리산국립공원 산림 탄소 흡수량 및 식생가치 기반 보호관리 우선순위 평가 연구
- 글로벌 보전 목표 성취를 위한 OECM 현황 및 특성 연구
- 국가 보전목표 성취를 위한 지자체 역할 고찰: 조례에 기반한 잠재 자연공존지역(OECM) 검토를 중심으로
자연과학 > 생물학분야 NEW
- GFPT1 regulates AMPK activity through enhanced O-GlcNAcylation
- Purification, crystallization, and X-ray crystallographic analysis of CALA-like lipase 7 from Cordyceps militaris
- 한반도 미기록 외래식물: 애기황마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