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Growth Dynamics of Korean fir (Abies koreana) Populations in the Western Area of Jirisan National Park (2011~2018)
- 발행기관
- 국립공원연구원
- 저자명
- 전영문(Young-Moon Chun) 명현호(Hyeon-Ho Myeong) 이나연(Na-Yeon Lee) 권영수(Young-Soo Kwon) 김태근(Tae-Geun Kim) 이호(Ho Lee) 박홍철(Hong-Chul Park) 김상민(Sang-Min Kim) 이호영(Ho-Young Lee) 김진원(Jin-Won Kim)
- 간행물 정보
- 『국립공원연구지』제16권 제1호, 80~94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 서부지역 일원의 구상나무 개체군 생육동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군락 내 종조성, 개체군 동태, 비대생장, 활력도 및 피압도 등을 분석하였다. 2011년 봄철 가뭄, 2012년 볼라벤과 산바의 역대급 태풍 등이 2014년 이후 구상나무의 고사, 생육 쇠퇴, 활력도, 그리고 군락의 종조성 변화 등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덩굴성 식물인 미역줄나무의 피압 또한 구상나무 쇠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부지역 내에서도 미소 지역별 고사 정도는 다르게 나타났으며, 수령이 어린 구상나무 집단에서는 안정적으로 개체군이 유지되는 특성을 보였다. 고사율이 높은 지역들은 신갈나무, 사스래나무 등과 같은 활엽수종으로의 천이 양상을나타냈고, 이와 같은 활엽수종의 경우 동일한 환경 이벤트에 쇠퇴하는 경향을 보이지 않아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구상나무 고사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던 환경 이벤트를 추정할 수 있었고, 구상나무 생활사가 이와 같은 환경 이벤트에 견딜 수 있는 내성을 결정하는데 중요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species composition, population dynamics, diameter growth, vitality, and competition pressure to un- derstand the growth dynamics of the Abies koreana population in the western part of Jirisan National Park. Extreme drought in the spring of 2011 and powerful typhoons in Bolaven and Sanba in 2012 ha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mortality, growth decline, vital- ity, and changes in species composition of A. koreana communities after 2014. Additionally, competition pressure from the climbing plant Tripterygium regelii was found to contribute to the decline in A. koreana. Notably, even within the western region, the degree of mortality varied by microhabitat, and younger A. koreana populations tended to remain stable. In areas with high mortality rates, a transition to broad-leaved tree species such as Quercus mongolica and Betula ermanii was observed. Unlike A. koreana, these broad-leaved tree species, unlike A. koreana, did not exhibit a tendency to decline under the same environmental conditions.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infer the environmental events that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the mortality of A. koreana and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its life cycle in determining resistance to such environmental events.
목차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사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왕산국립공원 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다양성 및 서식 현황 연구
- 한반도 미기록 외래식물: 애기황마
- 국내 강과 지류에서 관찰된 미기록종 돌말류의 다양성 연구
- New Record of Sphaerites glabratus (Fabricius, 1792) (Coleoptera, Sphaeritidae) from Korea
- 전북 완주군 추동제의 침입외래종 미국가재 정밀 조사 및 국내 가재와 형태적 특징 비교
- 북한산국립공원 우이령길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연구
- 한려해상국립공원 조간대 표층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
- 홍도(경남, 통영)의 식물상과 괭이갈매기 번식지와의 상관성 연구
- 덕산도립공원 탐방환경, 무엇을 개선해야 할까?
- 경주국립공원의 곤충 다양성에 관한 연구
- 호소 환경에서 새롭게 관찰된 미세조류에 대한 분류학적 고찰
- 내장산국립공원의 어류군집 특성 및 하천건강성 평가
- 국립공원연구지 제16권 제1호 목차
- 소백산국립공원 지형·지질유산 가치평가
- 지리산국립공원 서부지역 구상나무 개체군의 생육동태(2011~2018년)
- 한려해상국립공원 조간대 지역의 절지동물(단각류) 군집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물학분야 BEST
- 지리산국립공원 산림 탄소 흡수량 및 식생가치 기반 보호관리 우선순위 평가 연구
- 글로벌 보전 목표 성취를 위한 OECM 현황 및 특성 연구
- 국가 보전목표 성취를 위한 지자체 역할 고찰: 조례에 기반한 잠재 자연공존지역(OECM) 검토를 중심으로
자연과학 > 생물학분야 NEW
- GFPT1 regulates AMPK activity through enhanced O-GlcNAcylation
- Purification, crystallization, and X-ray crystallographic analysis of CALA-like lipase 7 from Cordyceps militaris
- 한반도 미기록 외래식물: 애기황마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