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Arthropod Fauna (Amphipods) in the Intertidal Zone of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South Korea
- 발행기관
- 국립공원연구원
- 저자명
- 김성훈(Sung Hoon Kim) 강주원(Joo Won Kang) 김영효(Young-Hyo Kim) 정태원(Tae Won Jung) 윤성명(Seong Myeong Yoon)
- 간행물 정보
- 『국립공원연구지』제16권 제1호, 57~7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려해상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단각류의 종류상과 분포상을 밝히고, 환경과 관련된 단각류 군집구조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수행되었다. 현장조사는 2019년 7월부터 2020년 9월까지 총4회에 걸쳐 공원구역 내 20개 정점에 대해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확인된 단각류는 29과에 속하는 101종, 843.99개체/㎡였으며, 우점종과 아우점종은 각각 세모손해조숨이옆새우[Protohyale (Boreohyale) triangu- lata (Hiwatari, 2003)]와 별난멜리타옆새우[Abludomelita japonica (Nagata, 1965)]로 확인되었다. 조사 정점에 대한 생태지수는 우점도 0.21, 다양도 3.24, 풍부도 14.84로 각각 확인되었다. 각 조사정점에서 확인된 단각류 종들의 분포를 바탕으로 정점들 사이의 유사도에관한 집괴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정점들은 기질의 성격과 지리적 위치에 따라 니질이 우세한 내만의 연성기질 정점들의 군과 외해 지역의 경성, 또는 혼성기질 정점들의 군으로 구분되었으며, 첫 번째 군은 기질의 성격에 따라 다시 3개의 아군으로 나뉘었고, 두 번째 군 또한 지리적위치에 따라 다시 3개의 아군으로 나뉘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intertidal zones of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to study amphipod fauna in relation to habitats. The survey was conducted four times between July 2019 and September 2020 at 20 stations in the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A total of 101 species belonging to 29 families belonging within one order were identified. The mean density of amphi- pods across all stations was 843.99 inds/㎡. The dominant and subdominant species are Protohyale (Boreohyale) triangulata (Hiwatari, 2003) and Abludomelita japonica (Nagata, 1965), respectively. In the ecological analysis of the communities in the study area, the dominance index was 0.21, diversity index was 3.24, richness was 14.84, respectively.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am- phipod community of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divided the 20 study stations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strate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The first group of stations (I) was characterized by a soft substrate dominated by mud and located in the inner bay. Group (II) was characterized by a hard substrate or mixed substrate located in the outer sea. These two groups of stations were further divided into three subgroups according to their substrate characteristics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목차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고찰
사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왕산국립공원 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다양성 및 서식 현황 연구
- 한반도 미기록 외래식물: 애기황마
- 국내 강과 지류에서 관찰된 미기록종 돌말류의 다양성 연구
- New Record of Sphaerites glabratus (Fabricius, 1792) (Coleoptera, Sphaeritidae) from Korea
- 전북 완주군 추동제의 침입외래종 미국가재 정밀 조사 및 국내 가재와 형태적 특징 비교
- 북한산국립공원 우이령길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연구
- 한려해상국립공원 조간대 표층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
- 홍도(경남, 통영)의 식물상과 괭이갈매기 번식지와의 상관성 연구
- 덕산도립공원 탐방환경, 무엇을 개선해야 할까?
- 경주국립공원의 곤충 다양성에 관한 연구
- 호소 환경에서 새롭게 관찰된 미세조류에 대한 분류학적 고찰
- 내장산국립공원의 어류군집 특성 및 하천건강성 평가
- 국립공원연구지 제16권 제1호 목차
- 소백산국립공원 지형·지질유산 가치평가
- 지리산국립공원 서부지역 구상나무 개체군의 생육동태(2011~2018년)
- 한려해상국립공원 조간대 지역의 절지동물(단각류) 군집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물학분야 BEST
- 지리산국립공원 산림 탄소 흡수량 및 식생가치 기반 보호관리 우선순위 평가 연구
- 글로벌 보전 목표 성취를 위한 OECM 현황 및 특성 연구
- 국가 보전목표 성취를 위한 지자체 역할 고찰: 조례에 기반한 잠재 자연공존지역(OECM) 검토를 중심으로
자연과학 > 생물학분야 NEW
- GFPT1 regulates AMPK activity through enhanced O-GlcNAcylation
- Purification, crystallization, and X-ray crystallographic analysis of CALA-like lipase 7 from Cordyceps militaris
- 한반도 미기록 외래식물: 애기황마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