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A Faithful Evangelist, Pastor Bang Ki-chang(1851-1911)
- 발행기관
-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 저자명
- 이영식(Young Sik Lee)
- 간행물 정보
- 『갱신과 부흥』Vol.35, 251~284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초의 평양장로회신학교 학생, 최초의 한국장로교회 목사이며 ‘충실한 전도자’ 방기창 목사를 살펴보려고 했다. 먼저 그의 출생과 기독교 입교 전의 동학의 지도자, 입교 후의 권서와 조사 그리고 장로로서의 활동, 평양장로회신학교 졸업과 목사 안수 후의 목회활동을 살펴보려고 했다. 무엇보다 그의 전도자로서의 활동을 좀 더 깊이 있게 조명하려했다. 또한 조국 독립을 향한 그의 열망과 실천도 살펴보고자 했다.
청년 방기창은 동학도의 지도자로서 활약을 한 바 있다. 하나님의 은혜로 그는 복음을 접하고 허탄한 사상과 미신에서 빠져나와 진리와 참된 도(道)를 만나고 새로운 인생을 살아가게 되었다. 그는 권서로서 그리고 “충실한 조사”로서 평양과 평양서부지역과 황해도 지역까지 광범한 지역을 담당하며 복음을 전했고, 다수의 교회를 설립했다.
그의 활동에 있어서 조국독립에 대한 열망과 동포애를 발견할 수 있다. 그는 독립협회 평양지회의 회원으로 아들 방화중과 함께 동참하여 국권회복에 힘을 보탰다. 또한 그는 「공립신보」를 통해서, 강렬한 표현으로 일제에 대한 규탄을 했으며, 그 대응 방법을 나름대로 제시했다. 오늘날 한국교회에 교회를 넘어서 사회와 민족에 대한 사명을 깊이 생각하게 하는 대목이다. 무엇보다 오늘날 한국장로교회가 선진들의 희생과 헌신을 기억하며, 하나님 말씀과 복음전파라는 본질에 생명을 걸었던 그 신앙과 숭고한 정신을 계승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rough this study, I tried to examine the first Pyongyang Presbyterian Seminary student, the first Korean Presbyterian Church pastor, and Pastor Bang Ki-chang, a ‘faithful evangelist.’ I first wanted to examine his birth and activities as a leader of Donghak before converting to Christianity, his activities as an colporteur, helper and elder after converting to Christianity, and his pastoral activities after graduating from Pyongyang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and being ordained as a pastor.
Above all, I tried to investigate his activities as a preacher and his desire and practice for independence of his country. The young Bang Ki-chang, a young man, has played an active role as a leader of Donghak-do. By the grace of God, he came into contact with the gospel, escaped from vain thoughts and superstitions, encountered the truth and the true way, and began to live a new life.
As a pastor and “faithful helper,” he preached the gospel and established many churches across a wide area, including Pyongyang, the western part of Pyongyang, and the Hwanghae-do. In his activities, we can find a desire for independence of the motherland and a love of compatriots. He also strongly condemned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rough the Konglip Sinbo and presented his own solution.
This is the point that makes the Korean church deeply think about its mission to society and the people today. Above all,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today must remember the sacrifices and devotion of its predecessors and inherit their faith and noble spirit that risked their lives on the essence of God's word and the spread of the gospel.
                    목차
Ⅰ. 시작하는 말
	                       
	                          Ⅱ. 출생과 동학접주로서의 활동
	                       
	                          Ⅲ. 기독교 입교와 초기 권서, 장로 및 조사로서의 사역활동
	                       
	                          Ⅳ. 최초의 장로교 목사, 부노회장, 그의 목회활동
	                       
	                          Ⅴ. 조국 독립에의 열망과 실천
	                       
	                          Ⅵ. 주님 품으로
	                       
	                          Ⅶ. 맺는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웃 사랑’을 명령하는 구절 간의 비교 연구: 구약, 제2성전기 문헌, 갈라디아서를 중심으로
- 청교도와 공공신학 - 리처드 백스터의 공공신학적 면모와 시사점
- 전쟁의 발발(勃發) 원인: 존 칼빈과 헤르만 바빙크 그리고 한상동을 중심으로
- 17세기 루터파 정통주의의 섭리론 연구: 아브라함 칼로브(1612-1686)의 Systema Locorum Theologicorum과 Apodixis Articulorum Fidei에 나타난 신의 섭리와 인간의 자유의 관계성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 충실한 전도자, 방기창 목사(1851-1911) 연구
- 기독교 대학의 ‘혼합수업(Blended Learning)’에서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 가능성 연구
- 『황금 사슬』에서 제시된 윌리엄 퍼킨스의 신학 개요
- 칼빈의 이사야서 주석에 나타난 위로모티프 해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AIDT) 도입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 생성형 AI 시대의 교육 패러다임 변화와 교사 역할의 재정립
- AI 시대, 대학생의 인성교육 현황과 시사점: 2개 대학의 인성교육 사례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