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세무회계사무소 직원의 역량과 업무경력 및 결산경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2

영문명
The Effect of Tax Accounting Firm Employees’ Competencies, Work Experience, and Settlement History on the Job Satisfaction
발행기관
한국전산회계학회
저자명
김승태(Seung-Tae Kim) 이진수(Jin-Soo Lee)
간행물 정보
『전산회계연구』제23권 제1호, 123~14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회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AI시대로 접어들면서 변화와 혁신으로 바뀌고 있는 세무회계사무소 직원들의 역량인 전문성, 대응성, 교육훈련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에 세무회계사무소 직원의 역량, 직무만족도, 경력, 결산횟수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세무회계사무소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 데이터는 통계패키지 SPSS 28을 활용하여 신뢰성분석, 요인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원들의 역량 중 전문성과 대응성은 직무만족도와 유의적인 양(+)의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지만 교육훈련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결산경력이 짧은 것(없음과 1년-2년)과 긴 것(3년이상)으로 구분하여 차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문성 및 대응성 그리고 직무만족도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교육훈련은 유의적이지 않았다. 셋째, 업무경력을 3그룹(업무경력 少, 中, 多)으로 구분하여 차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문성, 대응성 그리고 직무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교육훈련은 유의적이지 않았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를 통해서 세무회계사무소 직원들은 조세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람으로서 긍지를 가지고 탈세보다는 절세를 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지고 직무에 만족하며, 업무성과를 증진 시킬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공헌점이 있다.

영문 초록

[Purpose]As we enter the AI era, the competencies of tax accounting office employees, such as professionalism, responsiveness, and education and training, which are changing and innovating, will affect job satisfaction. Accordingly,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etencies, job satisfaction, career, and number of settlements of tax accounting office employees. [Methodology]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ax accounting office employees. The survey data was analyzed for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28. [Findings]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competencies of employees, professionalism and responsivenes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but education and training were not significant. Second, as a result of conducting a difference analysis by dividing them into those with short (none and 1-2 years) and those with long (3 years or more) settlement experience, professionalism, responsiveness, and job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ut education and training were not significant. Third, as a result of conducting a difference analysis by dividing work experience into three groups (low, medium, and high work experie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fessionalism, responsiveness, and job satisfacti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 and training. [Implications]Through this study, the employees of tax accounting firms, as people who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axes, have pride in themselves and have the ability to save taxes rather than evade taxes, and are satisfied with their jobs and can improve their work performance. This study has a contribution in that it analyzed factors that can improve their work performanc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승태(Seung-Tae Kim),이진수(Jin-Soo Lee). (2025).세무회계사무소 직원의 역량과 업무경력 및 결산경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전산회계연구, 23 (1), 123-147

MLA

김승태(Seung-Tae Kim),이진수(Jin-Soo Lee). "세무회계사무소 직원의 역량과 업무경력 및 결산경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전산회계연구, 23.1(2025): 123-1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