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근시교정 굴절수술과 망막박리 유리체절제술 후 FineVision 인공수정체 삽입의 굴절 결과
이용수 0
- 영문명
- Refractive Outcomes of FineVision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after Myopia-correcting Refractive Surgery and Retinal Detachment Vitrectom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이수민(Su Min Lee) 이승우(Seungwoo Lee)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6,number4, 191~19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과거 근시교정 굴절수술을 받았던 눈에서 망막박리로 유리체절제술을 시행한 후 FineVision 다초점 인공수정체 삽입의 굴절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근시교정 굴절수술을 받았던 눈에서 망막박리로 인하여 유리체절제술을 시행한 후 발생한 핵백내장으로 FineVision 다초점 인공수정체을 삽입한 27명 27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술 전과 후 시력, 현성굴절검사를 시행하였다. 이 중 안축장이 26 mm 이상인 환자 8명과 안축장이 26 mm 미만인 환자 19명의 예측오차를 비교하였고 황반부를 침범하는 망막박리가 있던 환자 9명과 황반부를 침범하지 않은 환자 18명의 예측오차를 비교하였다.
결과: 술 후 6개월에 평균 원거리 나안시력은 0.12 ± 0.14 logarithm of the minimal angle of resolution (logMAR), 평균 근거리 나안시력은 0.08 ± 0.14 logMAR였다. 술 후 구면렌즈대응치가 ± 0.50 diopter (D) 이내는 9안(33.3%), ± 1.00 D 이내는 19안(70.4%), 모든안에서 ± 1.50 D 이내였다. 술 후 6개월까지 안축장이 26 mm 이상인 고도근시 안과 안축장이 26 mm 미만인 안의 예측오차값은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망막박리가 황반을 침범한 안과 침범하지 않은 안의 예측오차값 또한 비슷하였다.
결론: 유리체절제술과 근시교정 굴절수술을 받았던 눈에서 FineVision 다초점 인공수정체 삽입술은 술 전 목표 도수에 가까운 구면렌즈대응치를 보였으며 모든 안에서 ± 1.50 D 이내의 구면렌즈대응치를 보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refractive outcomes of FineVision multifocal intraocular lens (IOL) implantation after vitrectomy for retinal detachment in eyes that had undergone myopia-correcting refractive surgery.
Methods: This study involved 27 eyes from 27 patients who received FineVision multifocal IOL implantation due to nuclear cataract following vitrectomy for retinal detachment. All patients had previously undergone myopia-correcting refractive surgery.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visual acuity and manifest refraction were measured. Prediction errors were compared between 8 eyes with axial length (AL) ≥ 26 mm and 19 eyes with AL < 26 mm, as well as between 9 eyes with macula-involved retinal detachment and 18 eyes without macula involvement.
Results: Six months postoperatively, the mean uncorrected distance visual acuity was 0.12 ± 0.14 logarithm of the minimal angle of resolution (logMAR), and near visual acuity was 0.08 ± 0.14 logMAR. The postoperative spherical equivalent (SE) was within ± 0.50 diopters (D) in 9 eyes (33.3%) and within ± 1.00 D in 19 eyes (70.4%). All eyes had SE within ± 1.50 D. Prediction error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eyes with AL ≥ 26 mm and those with AL < 26 mm, nor between macula-involved and non-involved groups up to 6 months postoperatively.
Conclusions: FineVision multifocal IOL implantation resulted in SEs close to the preoperative expected refraction in eyes with previous vitrectomy and myopia-correcting refractive surgery, with all eyes within ± 1.50 D.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정신건강 중재에 대한 연구 동향: 계량서지학적 분석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부모 매개 중재(Parent-mediated intevention)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